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d라이브러리
"
지면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돌리기만 해도 구슬 분리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끊어져 콩깍지 속에 콩알이 들어있는 모양이 됐다. 연구자들은“과립이 어느 이상 채워
지면
대류를 일으켜 이런 패턴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며“자연계에 존재하는 과립의 동역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이르러서는 초속 200m 정도로 느려지고, 착륙 5분 전 지름이 35m에 이르는 주낙하산이 펼쳐
지면
속도는 초속 7m까지 떨어진다.착륙 2초 전. 지상과의 높이가 1.5m일 때 우주선에 부착된 6개의 착륙용 로켓이 마지막으로 분사하며 착륙할 때 충격을 줄인다. 착륙지점에 미리 대기하고 있던 구조대가 ... ...
노트북 배터리 연쇄 폭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빼내는 통풍구나 과열방지 장치를 넣기가 더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게다가 제품이 얇아
지면
서 충격을 받기가 더 쉬워졌다는 의견이다. 최근 등장하는 노트북의 경우 평균 두께가 15~20mm, 휴대전화는 10mm까지 얇아졌다.학계나 기업들은 리튬이온전지를 쓸 때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 ...
거꾸로 솟는 고드름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낮에 날씨가 따뜻하면 지붕에 쌓인 눈이 녹아서 처마에 물방울로 맺히고, 밤이 되어 추워
지면
그대로 얼어서 얼음이 되는 거예요. 이게 반복되면 고드름이 점점 커지지요. 그래서 고드름을 잘라 단면을 보면 나무의 나이테 같은 무늬를 볼 수 있답니다.”“그렇다면 고드름은 땅을 향해 자라야지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결실이다. 그 주변의 어느 나무 틈에는 말라서 쪼그라진 암컷의 시신이 있다. 날이 따뜻해
지면
알을 깬 애벌레들이 그 자리를 채운다. 생명체가 살 수 없을 것 같은 삭막한 겨울 숲에서 다음 세레나데를 위해 겨울자나방은 또 나뭇잎을 갉아 먹는다.겨울자나방은 왜 결혼 시즌을 겨울로 택했을까?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사서 소장하기를 바란다.3. 과학동아 자매지로 격주간 ‘어린이과학동아’가 있다. 혹시
지면
이 주어진다면 초등학생을 위해 꼭 그려보고 싶은 만화가 있나?어린이 만화를 그리려면 어린이의 눈높이로 돌아가야 한다. 10년간의 포닥 생활에서 벗어난 지 얼마 되지 않는데도 포닥 이야기를 그리려니까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80% 정도만 아밀로펙틴으로 되어 있지요. 게다가 떡메로 쌀을 치는 과정에서 조직이 뭉쳐
지면
더 쫄깃쫄깃해진답니다.셋, 설날에는 왜 가래떡을 먹나요?한 해를 시작하는 명절인 설날에는 가래떡처럼 길게 오래 살라는 의미로 가래떡을 먹어요. 추석에는 한해 동안 열심히 농사를 지어 거둬들인 ... ...
INTRO 쓰레기에게 새 생명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여는 것이 목표다. 손때 묻고 흠 많지만 한편으로는 정겨운 그의‘분신’들을
지면
에서 만나보자.파리낡은 방충망이 파리의 날개로 다시 태어났다.‘ 방충’(防蟲)이라는 단어에서 보듯 파리를 막는 임무를 충실히 하던‘녀석’이 죽어서는 파리에게 자유를 주려나보다. 동그란 전구는 파리에게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조금씩 떨어져 나가 전체적으로 표면적이 줄어든다”며 “상대적으로 적혈구가 팽팽해
지면
‘바람 빠진 타이어’였을 때보다는 변형될 여지가 줄어든다”고 설명했다.두 번째 원인은 ‘당화’ 현상이다. 당화는 적혈구 세포막에 긴 사슬 구조의 당 물질이 붙어 엉기는 현상으로 당뇨병과 같이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비극적인 시나리오를 발표했다. 안순일 교수는“대기 중 온실기체의 농도가 계속 높아
지면
지구의 기후가 밀란코비치주기의 영향을 아예 받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지구의 기후를 조절해온 자연 주기가 힘을 잃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다음 빙하기가 찾아올 시점이 앞으로 수천 년 뒤일지,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