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빨라진 대중교통·여전히 혼잡한 도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마지막으로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인 버스는 어떻게 될까. 복잡한 도로 사정과 자동차
흐름
으로부터 영향 받지 않기 위해 1차선 버스전용차로가 확대될 전망이다. 환경을 고려해 모든 버스는 천연가스 차량으로 교체된다.대중교통은 이용자의 편리를 위해 통합요금제가 실시될 계획이다. 즉 ... ...
왜 세계 해양학자들이 동해를 찾아올까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표류기라는 점이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아르고 계획이 마무리되면 해양학자들은 바다의
흐름
에 대해 훨씬 더 많이 알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인간에 의해 지구가 더워지고 있는 증거도 쌓여가고 있다. 지구과학자들은 상업화로 인해 유발된 지구온난화가 계속되면 지구기후의 열쇠를 쥐고 있는 ... ...
협곡 사이로 흐르는 물리학 '래프팅'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센 곳이 아니라면 오히려 안전한 장소가 된다. 장애물의 크기가 상당하고 모양이 물
흐름
에 대해 평평하다면 뒤쪽에 생기는 소용돌이는 느린 속도의 역류가 돼 장애물 뒤편은 쉼터나 구조를 위한 안전지대가 된다. 그러나 물살이 아주 센 곳에서는 사정이 다르다. 경사가 심하지 않는 평평한 곳이라 ... ...
9백년 잠에서 깨어난 고려청자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점. 유물 인양은 만조와 간조가 멈춘 정조시간(停潮時間)에만 가능하다. 조수의
흐름
이 정지되면 바다 속이 비교적 평온해진다. 이 때가 아니고는 유물을 건져 올리는 일이 불가능하다.이같은 정조 시간은 하루 두차례, 매번 30분에서 1시간 정도. 그것도 날씨가 좋아야 한다. 날씨가 괜찮은 날이라고 ... ...
4. 사흘만에 10m 교량 뚝딱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없어야 하고 기포가 거의 없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보강재의 섬유 구조에 따라 수지
흐름
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수지가 금형 내부를 모두 채우는지, 아니면 어디에 기포가 생기는지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 3차원 섬유배열이 필요한 이유육상교통, 토목건축, 선박해양 분야의 산업계는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비슷하게 나타나는 물 덩어리 바다 속에서는 그 특성이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해류의
흐름
등을 유추하기 위한 추적자료로 활용된다 우리나라 동해에도 대양과 흡사한 여러 수괴가 있다어떤 저널에 게재된 논문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저널에 실린 다른 논문에 얼마나 많이 인용됐는가를 ... ...
세계 최초 단원자 트랜지스터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전자 조절 방식에 자기적 성질이 추가됐음을 의미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의 전류
흐름
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네이처지는 이 연구에 대해 “원자 하나가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당장 단전자 트랜지스터를 실용화하기는 어렵지만, 앞으로 나노전자소자를 개발하는데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구축은 진정한 의미의 인공생명이라 할 수 없다. 하드웨어가 좀더 나은 논리의
흐름
을 따라 ‘진화’하기는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인간의 도움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하드웨어가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이에 자신을 적응시켜 나가는 진정한 의미의 진화 하드웨어는 ‘GAP’(Genetic ... ...
우주에서 응원한 붉은악마 성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빛깔이다. 산소가스에 가해진 에너지는 강력한 항성풍(별에서 나오는 고속도 입자의
흐름
)에서 나온다. 항성풍의 원천은 사진 밖에 있는 무거운 별이다.얼굴 부분의 하얀색은 이들 세가지 색, 즉 붉은색·파란색·초록색 빛이 합쳐진 결과다. 이 부분에는 별 탄생지역의 뜨겁고 무거운 별들이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데이터를 저장하는데는 매우 편리하다. 다만 아날로그의 경우 연속되는 데이터의
흐름
이라는 특성상 잡음이나 잡화면 같은 노이즈가 생기기 쉽다. 하나 하나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흐르는 데이터의 특성 때문이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일단 데이터에 노이즈가 생기게 되면 이를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