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뉴스
"
거대
"(으)로 총 1,465건 검색되었습니다.
달 탄생 기원 ‘금성’에 물어봐
동아사이언스
l
2013.12.08
최근까지 과학자들은 원시지구에 화성 크기의 행성체가 충돌해 달이 탄생했다는 ‘
거대
충돌설’을 지지해왔다. 지난해에는 이를 보완한 두 개의 가설들이 새롭게 등장했다. 첫째는 매우 빠르게 회전하던 원시지구에 행성체가 충돌하면서 지구 맨틀에서 튕겨 나온 물질이 응축돼 달이 ... ...
인류의 오만함을 어찌 모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4
축은 ‘가이아’로 의인화된 지구의 ‘읖조림’이다. 책에서 가이아는 수 억 년 전
거대
인류를 탄생시키고 우주로부터 날아오는 소행성을 방어하기 위해 당시 인류(17m)의 10분의 1 크기(170cm)의 미니 인간을 만들어내는 과정, 그리고 다시 미니 인간들이 지배하는 현재의 지구에서 가이아가 느끼는 ... ...
아이손 혜성은 왜 녹색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21
우리나라의 날씨는 천문학을 하기에 그리 좋은 날씨는 아닌 것 같다. 필자가 전에 ‘
거대
마젤란 망원경’을 건설하기 위한 건설비를 구하기 위해 일할 때의 에피소드가 생각났다. 이 망원경은 약 7천억 원이 소요되는 망원경인데, 지금 칠레의 사막 지역에 있는 라스 캄파나스에 건설되고 있다. ... ...
[채널A]‘쌍둥이 블랙홀’ 존재 은하 최초 포착
채널A
l
2013.11.13
구분하는 것도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연구팀은 칠레에 있는 유럽남천문대의
거대
망원경을 이용해 블랙홀이 뿜어내는 미세한 가스 성분을 분석해 찾아냈습니다. 이번 연구는 11일 영국 왕립천문학회지에 실렸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 ... ...
충돌 직전 쌍둥이 블랙홀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3.11.12
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거대
블랙홀과 은하는 충돌을 통해 서로 병합하면서
거대
하게 진화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추측이다. 이번 발견은 전문가들의 이론을 증명할 수 있는 유력한 증거가 된 것이다. 이번에 발견된 쌍둥이 블랙홀의 물리적 특성과 블랙홀과 블랙홀의 충돌과정을 ... ...
경주 곳곳에 숨어있는 왕릉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3.11.11
왕의 이름이 확인된 능은 38기뿐이다. 이 가운데에서도 유네스코가 지정한 것은 고분이
거대
해진 시기 이후의 것들로 대체로 신라 왕의 호칭이 이사금에서 마립간으로 바뀔 무렵과 일치한다. 국왕의 호칭이 가장 연장자를 뜻하는 이사금에서 흉노의 왕들을 의미하는 마립간으로 바뀌었다는 것은 ... ...
‘제2의 지구’ 품은 별, 맨눈에도 보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8
후보 중에서 절반은 지구 크기의 2배보다 작다. 나머지 절반은 해왕성, 목성과 비슷한
거대
행성이다. - NASA 제공 하지만 지구 크기의 2배보다 작은 외계행성 후보 1750개가 모두 ‘제2의 지구’는 아니다. 아직까지 이들이 외계행성으로 확인되지 않기도 했지만, 실제로 지구를 닮았는지 모르기 ... ...
한국 BT 연구…연구성과→사업화 연결고리 미약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8
찍겠다는 의미로 보인다”며 “미국이나 유럽처럼 기초연구 성과를 직접 사업화할
거대
기업이 없으니 정부의 관심과 전략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슈퍼컴퓨터, 창조경제+삶의 질 동시에 잡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1
잘 알려진 것처럼 슈퍼컴퓨터는 환경·에너지·기상·우주·핵융합·게놈프로젝트 등
거대
연구는 물론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 사기성 금융 거래를 찾아내는 데도 활용되고 있어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데도 일조하고 있다. 날씨나 기상을 예측하는 데 쓰이는 것으로 인식되는 ... ...
[미래과학콘서트] 2013 노벨화학상 수상자 아리에 와르셸 교수를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0.29
조금 더 효율적으로 공부하게 됐다”라고 덧붙였다. 와르셸 교수는 단백질 같은
거대
분자의 구조와 복잡한 화학반응을 예측하는 프로그램과 분석방법을 만든 공로로 마르틴 카르플루스 하버드대 화학과 명예교수, 마이클 레빗 스탠퍼드대 구조생물학과 교수와 노벨 화학상을 공동수상했다.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