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97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소형 유전자가위 개발…다양한 체내 장기에서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2.08.10
사용할 수 있어 여러 개의 목표를 동시에 염기 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아데노바이러스를 통한 전달에 문제가 없으며, 원하는 부위에서 교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김용삼 책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한 초소형 염기 교정 ... ...
[표지로 읽는 과학] 중요하지만 모두가 간과했던 존재, 풀
동아사이언스
l
2022.08.07
탄소의 3분의 1을 저장하고 있다. 연간 23억~73억t(톤)에 달하는 양이다. 그 외에도 초원은
동물
들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고, 사람들에게도 음식과 살 곳을 제공한다. 사이언스 이번 호에서는 몽골의 대초원에서 탄자니아 사바나에 이르기까지 풀과 함께 생물군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 ...
정자·난자 없이 ‘쥐 인공 배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4
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만들어진 인공 배아가 살아있는
동물
로 성장하는 것은 아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제이콥 한나 와이즈만연구소 연구원은 “인공 배아를 암컷 쥐의 자궁에 삽입시켰지만 더 이상 성장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초기 배아단계의 줄기세포. ... ...
태어날 때부터 물집 생기는 유전성 피부질환 유전자가위로 고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3
통해 7형 콜라겐의 문제가 되는 변이 중 가장 흔한 2가지 변이를 교정하는 데 성공했다.
동물
피부에 교정된 변이 유전자를 이식한 결과 고정원 섬유도 정상적으로 생성된 것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유전자 변이를 교정하는 데는 유전자가위 기술 중 아데닌 염기교정과 프라임교정 ... ...
추정뿐이던 중증천식 코로나 결합 위험성…
동물
실험으로 최초 규명
연합뉴스
l
2022.08.03
함께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시설을 이용, 2년에 걸쳐 코로나19와 중증 천식의 연관성을
동물
실험으로 규명했다. 실험 결과는 대체로 코로나19가 중증 천식에 미치는 악영향이 중대하지만, 그 결과가 획일적이지 않고 다양하다는 데이터를 확보했다. 연구팀은 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한 대규모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스타벅스 캐리백 논란...엄습한 발암물질 공포
2022.08.03
잃는 사람은 한 해에 3만 명을 넘지 않는다. 발암물질에 대한 현명한 대응 인체나
동물
에서 발암성이 확인된 발암물질을 애써 섭취·접촉·흡입할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우리가 언제나 발암성이 의심되는 화학물질·매개체·환경요인을 철저하게 회피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사실 1군 ... ...
원자력硏, 방사선에 의한 DNA 손상 예측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8.01
기반으로 통계적으로 예측한다. 이와 달리 연구진이 개발한 모델은 사전 데이터가 없는
동물
에도 적용할 수 있고 DNA뿐만 아니라 아미노산, 단백질 구조의 손상도 예측할 수 있다. 박원석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은 “방사선 손상 시뮬레이션은 원자력 외에도 우주, 의료 등 다양한 산업에 ... ...
[표지로 읽는 과학]바다에서 발견된 수분매개자
동아사이언스
l
2022.07.31
사이언스 제공 온몸이 반투명 껍질에 싸인 작은 벌레 한 마리가 붉은색을 띠는 나뭇가지에 앉아있다. 붉은 나뭇가지 정체는 바닷속 해조류의 절반을 차지하는 ... 수분 매개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규명되면서 육상 식물에게만 적용하던
동물
매개 수분 개념은 더 확장됐다. ... ...
‘쓰레기’ 타고 물놀이 하는 악어
팝뉴스
l
2022.07.29
충분하다. 아무튼 튜브는 자연에서는 쓰레기나 다름없다. 인간이 만든 쓰레기는
동물
의 생명을 위태롭게 하고 생태계를 혼란에 빠트린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런데 사진 속 튜브는 순기능을 하고 있다. 악어가 튜브에 올라가서 엎드렸다. 악어는 유유히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인간이 만든 ... ...
'바다의 꿀벌' 갑각류는 해조류의 '꽃가루' 나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7.29
가치가 없을 수 있다"고 말했다. 미리암 발레로 프랑스 소르본대 교수는 "해조류와
동물
사이의 관계가 동식물 사이 관계의 진화보다 먼저일 수도 있다"며 "홍조류는 해양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수정 과정을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