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업게시판]실내에서도 발전 가능한 태양광 패널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9
태양광 발전 시스템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연구팀은 광섬유 표면에 나노
크기
의 홀을 가공해 빛의 산란을 극대화하고, 산란된 빛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도록 유기물 기반의 태양전지 구조를 재설계했다. 이를 통해 빛의 입사각에 상관없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고, 하루 최대 효율 구현 ... ...
중국 우주인 3명 6개월만에 지구로 귀환 "연내 우주정거장 완공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길이 37m, 무게 90t으로 미국과 러시아 등이 공동 운영하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의 3분의 1
크기
로 계획됐다. 중국은 지난해 4월 핵심 모듈 ‘톈허’를 쏘아올린 이후 빠르게 우주정거장을 건설 중이다. 중국항천과기집단공사가 2월 발표한 ‘항공우주 과학기술 활동 청서’에 따르면 중국의 우주정거장 ... ...
내달 1일 새벽 4시 56분 금성과 목성 한 점에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8
한다. 이번 근접 현상에서 금성과 목성 사이의 각거리가 0.2도에 불과하다. 보름달
크기
인 0.5도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 맨눈으로 보면 두 행성이 거의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금성과 목성 근접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동쪽 하늘이 트인 곳에 자리를 잡는 것이 좋다 ... ...
[표지로 읽는 과학]유리를 인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7
들여 만든 유리세공 같지만 사실은 컴퓨터와 기계가 만들어낸 초소형 공예품이다. 총
크기
는 고작 4.5mm에 불과하고 유리 가닥의 두께도 0.25mm밖에 되지 않는다. 3차원(3D) 프린팅을 이용해 유리로도 복잡한 미세 구조를 만드는 게 가능해지며 탄생한 예술품이다. 헤이든 테일러 미국 버클리 ... ...
"내 목소리 잘 들리나요?" 영상통화할 때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유지하자 다시 평소와 같은 수준의 몸동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소리
크기
는 그대로 유지했다. 의사소통에서 과장된 몸짓은 별로 쓸모 없지만 목소리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심리가 작동한 것이다. 제임스 트뤼일로 연구원은 “사람은 전화 통화를 하면서 상대에게 보이지 ... ...
인간 수명 80살 정도인 이유는…"DNA 오류 한도까지 쌓여서"
연합뉴스
l
2022.04.14
것처럼 동물마다 평균 수명이 다른 이유를 규명할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몸의
크기
보다는 유전 정보를 담은 데옥시리보핵산(DNA)이 얼마나 빨리 손상되는지에 따라 해당 종의 수명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1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영국 케임브리지 소재 웰컴 생어 ... ...
[과학게시판] 캔위성 체험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4.14
체험경연대회를 개최한다고 13일 밝혔다. 올해 11회를 맞은 이 대회는 청소년들이 캔
크기
모사 인공위성인 캔위성을 직접 제작하며 위성개발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한 대회다.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위성 교육과 캔위성 제작실습을 하는 ‘체험캠프’와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 ...
'지름 136km' 역대 가장 큰 혜성 태양계로 접근중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사진에서 밝은 빛을 내는 지점을 특정한 후 전파 관측에서 알아낸 밝기를 분석해 핵의
크기
를 특정했다. C/2014 UN271 이전 발견된 혜성 중 가장 큰 혜성은 2002년 발견된 ‘C/2002 VQ94’로 지름이 약 96km였다. 지구를 약 75년 주기로 도는 핼리혜성의 지름은 약 11km에 무게는 2200억 t 정도다. 일반적인 혜성 ... ...
버려진 쌀겨로 친환경 퀀텀닷 LED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13
파란색 등 삼원색을 갖춰야 한다. 다만 초록색과 파란색을 내기 위해서는 퀀텀닷 입자
크기
가 더 작아야 한다. 입자가 작을수록 불안정해져서 개발 난도가 더 높다. 퀀텀닷을 안정화 시키는 마지막 화학처리 단계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 ...
국내 첫 심우주프로젝트 달탐사선 개발 마무리 돌입…8월 우주로
연합뉴스
l
2022.04.11
달 탐사 개발 사업에 참여한 국내외 기간은 40여 개에 달한다. KPLO은 약 2m 정도의
크기
의 직육면체(2.14m×1.82m×2.29m)로, 연료 260㎏을 포함한 총 중량은 678㎏이다. 첫 설계 당시 KPLO의 중량 목표는 550㎏였지만 시험 모델 개발 과정에서 늘어났다. 중량이 늘어나면서 달 궤도 진입을 위한 이동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