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스페셜
"
안정
"(으)로 총 1,486건 검색되었습니다.
희망멘토, 여성과학기술인 [제8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4.28
넘치는 시기에 그녀에게 공무원 생활은 맞지 않았다. 주의의 만류에도 굴하지 않고
안정
적인 직업을 뒤로한 채 벤처기업으로 이직한 뒤, CEO까지 됐다. 그녀는 왜 이런 선택을 하게 됐을까? 그 이야기를 들어 보자. ... ...
재난현장에서 나타나는 행동유형과 그 이유
KISTI
l
2014.04.25
하기 위해 필요한 건 시간이다. 시간이 흐르면 사건을 좀 더 객관적으로 보고 심리적으로
안정
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재난 상황은 여유를 주지 않는다. ■ 긴장형 - 어떤 대처 행동도 하지 않는다 긴장형은 위기 상황에서 그대로 얼어붙은 채 어떤 대처 행동도 하지 않는다. 지난 2011년 3월 일본 ... ...
[기술이 바꾼 미래] 증기기관의 시대를 열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10
않고 시간 즉 누군가가 해결해 줄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면서 1766년 와트는 좀 더
안정
된 직업인 측량사가 되어 8년 동안 스코틀랜드에 건설된 운하의 경로를 측정하는 일을 맡았다. 물론 측량사 업무를 보는 틈틈이 자신이 개발한 증기기관를 실용화할 수 있는 기자재에 개발 동향에 대해 관심을 ... ...
태양계에서 고리를 지닌 다섯 번째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4.08
수억~수십 억 년 존재할 행성이나 소행성대의 대다수 소행성과는 달리 공전 궤도가 불
안정
한 커리클로의 삶은 수백만~수천만 년 뒤 끝날 가능성이 높다. 사실 커리클로의 고리가 생긴 것도 1000만 년이 안 됐고 그 당시에는 해왕성 너머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뒤 천왕성 중력의 영향으로 ... ...
[만화] 스케이트 날의 과학
KISTI
l
2014.02.14
의외예요.” “사실 모양으로만 보면 가장 날렵하지가 않아. 점프한 뒤 착지할 때
안정
감을 높이기 위해서 스케이트 날의 두께도 4~5mm 정도로 가장 두껍고, 반면에 에지(edge)는 가장 날카로우니까.” “그럼 가장 날렵한 스케이트는 어떤 건데요?” “롱 트랙 스케이트, 즉 스피드스케이트가 가장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시냅스 숫자가 10배 이상 급증했고 그 이후에는 다시 줄어들다가 사춘기에 들어가면서
안정
화됐던 것. 당시 신경과학자들은 그의 발견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이해하지 못했지만 20여년이 지나 뇌의 가소성이 인식되면서 시냅스 가지치기(pruning)의 중요성이 부각됐다. 즉 태어나서 일 년 사이에 ... ...
주파수 전쟁이 벌어진다…“700MHz를 확보하라”
KISTI
l
2013.12.19
대역을 확보하기도 했다. 일단 좋은 주파수만 손에 넣으면 타사보다 더 속도가 빠르고
안정
적인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기존에 쓰던 주파수와 비슷한 대역을 낙찰 받으면 시설투자비도 아낄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대전’에 최근 방송업계들도 뛰어들었다. 새롭게 ... ...
‘노후 준비 안 됐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2.19
준비하는 기간에는 수익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겠지만, 연금을 개시한 후부터는
안정
성이 가장 중요하다. 즉 경제활동기에 근로 소득이나 사업소득으로 노후대비 자산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는 리스크를 어느 정도 감수할 수 있다. 또 하나. 모든 소득에는 세금이 따른다는 것이다. 세후 ... ...
일터와 산업을 바꿔놓은 한 건의 발명
KOITA
l
2013.11.08
않은 신기술에 불과했다. 이론적으로는 탄탄했지만, 시장에서 먹힐만한 신뢰성과
안정
성을 확보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던 것이다. 그러함에도 정전식 복사기가 새로운 산업 영역을 창출하고 사무실 환경을 완전히 바꾸어놓기까지는 칼슨과 윌슨의 개인적인 의지뿐 아니라 시장 환경의 변화도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실험에 필요한 전기를 얻기에는 충분할지 몰라도 본격적인 응용을 생각해보기에는 영
안정
성이 없었다. 영국의 화학자, 마이클 패러데이가 전자기 이론에 흥미를 지니던 당시에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19세기 초반의 화학자와 물리학자들은 전기와 자기의 성질에 큰 매력을 느꼈다. 울러스턴(William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