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화학"(으)로 총 1,816건 검색되었습니다.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2017.03.14
- 데니소바인의 뼈가 나왔다는 소식이 들릴 날을 꿈꿔 본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2017.03.07
- 짜부라지지 않고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2017.03.05
- 나면 6시간 정도 감압 치료를 받는다고 합니다.) ☞ 헨리의 법칙★이란? 1803년 영국의 화학자 윌리엄 헨리가 발견한 기체의 용해도에 관한 법칙입니다. 압력에 따라 기체의 용해도가 달라진다는 뜻으로, 잠수병을 막기 위한 호흡용 고압 기체의 비율을 계산할 때 쓰입니다. 예를 들어 깊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연구자들도 똑똑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2017.02.21
-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고육책이었던 셈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2017.02.14
- 테스트’라는 용어를 쓰는데 동의할지 문득 궁금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연구 결과를 들려주면 생각이 좀 바뀔지 문득 궁금해진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2017.02.01
- 지금보다 더 나빠지지만 않아도 다행이라는 생각이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2017.01.23
- 그나저나 알파고 수준의 번역기는 언제쯤 나올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동아사이언스 l2017.01.22
- 박테리아가 각자 좋아하는 온도, 적응한 온도가 달라서 입니다. 박테리아 안에서 각종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효소가 종류에 따라 ‘적정 반응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죠. 과학자들은 지금껏 그랜드 프리즈매틱 스프링에 살고 있는 여러 가지 효소가 어떤 진화 과정을 거쳐 열에 적응해 왔는지를 ... ...
이전1371381391401411421431441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