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같지는 않다. 백보를 양보해서 그런 어마어마한 에너지를 낼 수 있는 기계가 있어 우주
전
체의 사건을 뒤로 돌릴 수 있을지 모르지만, 우주여행하는 사람을 제외한 부분만을 과거로 미래로 돌린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주 여행을 하고 있는 사람을 제외한 많은 사람들은 자기 ... ...
전
기가 「콸콸」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2백20V로 승압했을 때 이점은 무엇일까? 가
전
제품의 성능을 100% 활용할 수 있고
전
력 손실도 상당량 줄일 수 있다.물은 높은데서 낮은데로 흐른다.
전
기도 마찬 ... 집 내의 안정기를 2백20V용으로 바꾸어 사용하면 한다.
전
압을 2백20V로 높였다하더라도
전
기요금은 1백10V를 썼을 때와 ...
노화보다는 질병이 뇌기능 퇴화 가져와 몸은 늙어도 두뇌는 젊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연결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새끼일 때 사용되고 그 이후로는 사용되지 않았던 유
전
자가 다시 가동되는 것을 밝혀냈다. 동물과는 달리 인체의 경우 살아있는 사람의 뇌를 실험용으로 손상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대신 뇌질병을 갖고 있었던 사람의 시체해부를 통해 증거를 보충하고 있다.한편 ... ...
유
전
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스크립스(Scripps)연구소와 버클리대학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이와 같은 연구의 진
전
은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응고혈액의 용해, 암세포의 추적 및 파괴 등 의학분야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20세기 후반기는 생명과학의 시대라고 한다. 눈부신 물질문명의 발달에도 불구하고 ... ...
천왕성 Uranus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공
전
하며(1법칙) △같은 시간에 움직인 행성의 면적속도는 일정하며(2법칙) △행성 공
전
주기의 제곱은 태양으로부터의 평균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한다(3법칙)는 세가지 법칙을 말한다. 1, 2법칙은 화성 관측을 통해 얻은 것으로 1609년에 발견됐고, 3법칙은 1619년에 발표됐다. 케플러의 법칙은 후에 ... ...
바이칼 호(湖)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지역에서도 토기가 제작됐고 신석기시대가 찾아왔다. 청동기시대는 지금부터 약 3천년
전
에 시작됐다고 한다.그러나 신석기시대는 물론이고 청동기시대 역시 농경보다는 수렵 채집 어로에 의존한 생활을 했다. 이러한 생계경제양식은 역사시대에 이르기까지 이 지역 원주민의 주된 생활양식이었다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는 CDC1604보다는 20배나 빠른 속도였으며 IBM의 스트레치보다는 약 3배 빠른 속도였다.완
전
한 히트 작품이었다. CDC의 주가가 폭등하기 시작했다. CDC의 성공소식에 가장 배아파한 것은 IBM이었다. IBM의 회장인 왓슨은 간부회의에서 분통을 터뜨리면서 거대기업 IBM의 구겨진 자존심을 세우기 위한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못한 독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보다는 악영향을 끼친다고 할 수 있다. 과학적 상상력과는
전
혀 거리가 먼 이들 우주 서부극은 과학소설하면 으레 "아! 브이(V)같은 것"하는 잘못된 고정 관념을 심어주고 있다.90년대에 들어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건즈백에서 시작되어 지금까지도 면면히 맥을 ... ...
「돌연사」급증 8명중 1명 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사실은 죽은 사람의 대부분이 발병하기
전
몸의 이상을 가족에게 호소하고 있다는 점.
전
신이 피로하다든가 뇌에 통증이 온다든가 호흡 장애를 호소했으며 수족이 떨리고 어깨가 굳어진다고 말한 것으로 드러났다.돌연사가 많아지는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사회생활을 하면서 ... ...
치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수가 살고 있다. 그러나 그밖의 지역에서는 거의 절멸상태다. 특히 인도에서는 절멸 직
전
에까지 이르렀는데 그 이유는 귀족들이 치타털옷을 선호하고 무분별한 개간을 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지역의 과잉 개간은 치타는 물론이고 치타의 먹이인 블랙벅이나 엑시스사슴마저 한꺼번에 절멸로 ... ...
이전
1416
1417
1418
1419
1420
1421
1422
1423
14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