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방학 컴퓨터특강 가이드 어디서 어떻게 배울수 있나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수강비를 보면, 전문인을 위한 프로그래밍언어강좌는 대부분 6개월 과정에 약 40만원
정도
이며, PC사용자를 위한 사무자동화과정의 경우는 1개월을 기준으로 국민학생은 3만5천원, 중학생은 4만원, 고등학생은 4만5천원, 일반인은 5만원
정도
.학원을 통해 컴퓨터를 배우려면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올 ... ...
음성합성IC 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것.이 제품은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C모스(MOS)공정을 채택했으며 음성녹음시간을 약 9분
정도
까지늘였다.음성녹음및 재생용IC는 자동응답전화기 음성메모장치 어학용학습 장난감 홍보판촉용상품 등에 폭넓게 응용되고 있으며 카세트테입이 필요없는 소형녹음기에도 쓸 수 있다.이 IC의 세계시장은 ... ...
에너지혁명인가 「해프닝」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전기화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실온 핵융합'이 지난 4월 한달 동안 지구촌을 들뜨게 한 이후, 물리학자들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반격이 점차 거세지고 ... 핵융합이 일어나는 경우는 '뮤온'(muon)결정 상태에서만 가능하고 이 경우에서만 유용한
정도
의 전력화가 가능하다고 굳게 믿고 있다 ... ...
상어보다 무서운 유독 가오리와 창꼬치 먹이로 달래 친구처럼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독침은 꼬리부분에 감춰두고 있는데 자기가 공격받을 위험이 있다고 생각되면 약 20㎝
정도
되는 독침으로 상대를 찔러버린다. 내가 19살 때 '모리타니아'근해에서 이 가오리독침에 찔려 거의 죽게 된 어부를 본 적이 있다. 우리는 가오리가 욕심이 많다는 것을 알고 있었으므로 그물에 가득 ... ...
속도의 한계는?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거의 쓰이지 않는다. 실제로 보통 속도에서는 질량의 증가는 측정할 수 없을
정도
로 너무나 미미하다. 따라서 어떤 물체가 운동에너지를 얻었을 때 그 속도만이 증가되고 질량에는 변화가 없는 것처럼 생각하기 쉽다.그런 이유때문에 질량이란 단순히 어떤 물체의 양이며 속도처럼 변화할 수 없는 그 ... ...
'생명체는 음(-)의 엔트로피를 먹고 산다' 엔트로피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엔트로피가 더 많이 증가, 세상은 한층 무질서해지는 것이다.현재 산업의 부산물
정도
로 생각하고있는 공해문제도 따지고 보면 엔트로피 증가 때문에 생기는 무질서현상의 한면이다. 따라서 에너지위기에 대처하는 방안을 연구할 때, 엔트로피 증가현상을 당연히 염두에 두어야만 한다. 에너지 ... ...
전자시대의 새로운 인간유형 실리콘 밸리의 소년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프로그램을 완성하면 모두가 몰려와 환호의 소리를 지릅니다. 축구시합의 스타플레이어
정도
라곤 할수 없을지 모르지만 컴퓨터를 다루는 여학생들로부터도 호감을 받게 됩니다."맥루한이 출현할것이라고 예상한 테크노키드들은 서서히 그리고 확실히 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맥루한의 제자였으며 ... ...
개관 1년 앞둔 제2국립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를 재현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종합과학관 건립에 가장 큰 애로사항은 전시품을 충분히 확보하는 문제. 전체 예산의 50%
정도
를 전시물을 구입 제작하는 데 쓰고 있지만 전시공간에 비해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국립과학관의 이춘섭 연구관리부장은 "개인 단체 또는 산업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전시물을 제공할 경우 전용 전시관을 ... ...
여름철 피부보호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아울러 흡수된 자외선의 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재미있는 것은 광독반응의 증상
정도
가 인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사실이다. 거므스름한 피부 특히 흑인들의 피부에는 별로 힘을 쓰지 못한다. 흑인들의 피부는 해로운 광선을 걸러내는 능력이 탁월하기 때문이다.광독반응과는 사뭇 다른 ... ...
DNA분자를 처음 보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흐를수록 현미경은 개선되어 마침내 물체를 1천배나 확대시킬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
정도
에서 과학자들은 물리적 장벽에 부딪쳤다. 빛은 파동들로 구성된다. 파동들은 미세하지만 현미경으로 보는 물체들 역시 미세하다. 물체들이 너무 작다면 그것을 보는데 쓰여지는 빛의 파동보다도 작다는 ... ...
이전
1418
1419
1420
1421
1422
1423
1424
1425
14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