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2,288건 검색되었습니다.
초승달이 그믐달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01
서울대 전파망원경 사업을 진두해서 지휘한 서울대 구본철교수(지구환경과학부
천문
학 전공)는 서울대 전파망원경에 대해 “외국에서 사온 것이 아니라 박사과정 대학원생 3명이 직접 관여해 만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대학 내에 있기 때문에 실험실습과 같은 용도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01
24시간 감시하는 작업을 실행중이거나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
천문
연구원과 연세대, 공군과 경희대에서 NEO 탐사와 추적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영국의 NEO 특별조사팀도 보고서를 통해 소행성탐사를 위해 남반구에 3m급 망원경을 설치하자는 제안을 의회에 제출했다.이런 탐사를 ... ...
20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12
의미)로 계산했고 이로부터 우주의 나이는 20억년 가량으로 추정됐다. 그후 여러
천문
학자에 의해 얻어진 허블상수의 값은 계속 바뀌었다. 1956년 미국의 앨런 샌디지는 허블상수를 1백80km/초/Mpc로 계산했으며 그에 따라 우주의 나이는 허블의 계산보다 갑자기 세배나 커지게 됐다. 그후 허블상수의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12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과연 밤하늘의 별을 관측하고 기록한 별자리도 중국의 것을 그대로 받아들였을까.그렇지 않다.최근 ...
천문
지식이 중국
천문
학의 전래에 의해서만 시작된 것이 아니라 선대의 고유한
천문
지식의 전승이 있었다는 하나의 결정적인 증거다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12
앙증맞은 고리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좀더 크고 멋진 모습을 보려면 과학관이나 공공
천문
대의 좀더 큰 망원경을 이용해 3백배 이상의 배율로 관찰해야 한다.작은 망원경으로 보면 고리는 크게 두부분으로 나눠진다. 안쪽에 밝게 보이는 부분을 ‘B고리’, 바깥쪽의 어두운 부분을 ‘A고리’라고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12
건설되기 몇천년 전부터 태양, 달, 별, 행성들의 운동을 세밀하게 관측하는 등
천문
학에 고도의 지식을 갖고 있었다. 우선 그들은 매년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나일강의 홍수가 일어나는 날과 큰개 별자리 시리우스별이 1년에 1회 동트기 직전에 나타나는 것을 정확히 탐지해 1년이 3백65.25임을 ... ...
타우 제로 (Tau Zero)
과학동아
l
200012
하기 때문에 현재의 과학기술로는 가까운 미래에 건설하기가 불가능하다. 작고한 저명한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은 램제트 우주선이 완성된다면 ‘하나의 작은 세계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타우 제로는 이처럼 항성간 우주선의 아이디어와 함께 상대성이론의 논리적 전개도 흥미롭게 펼쳐 ... ...
천왕성 발견자 윌리엄 허셜
과학동아
l
200011
행성이라는 사실이 굳어지자 이 행성에 이름을 붙이는 일이 남아 있었다. 프랑스의 어느
천문
학자는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허셜’로 하자고 제안했고 독일의 보데는 ‘우라누스’라는 이름을 추천했다. 하지만 허셜 자신은 새로운 발견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는데 서슴지 않고 영국 국왕의 이름을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11
것을 보면 이런 종류의 천체들이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20세기초 미국의
천문
학자 허블이 처음으로 은하를 분류하기 시작했는데 일차적인 기준이 은하의 모양이었다. 소용돌이를 닮은 은하는 나선은하, 둥근 타원을 닮은 은하는 타원은하, 일정한 모양을 갖지 않는 은하는 불규칙은하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11
흡수된 부분이다. 원자나 분자는 종류에 따라 특별한 파장의 빛을 흡수한다. 그래서
천문
학자들은 흡수선의 위치를 지구상의 알려진 원소에서 나타나는 스펙트럼과 비교해 별의 구성원소나 성질을 알아내기도 한다.현재는 여러 별들을 특징적인 스펙트럼별로 분류한 체계를 사용한다. 보통 별의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