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재 곤충학자 ‘파보니 벌레리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과연 어떤 문을 피해 문을 열어야 할까요? 메뚝!”미션4 썰렁홈즈가 가야할 곳은 어디?“
대
체 곤충 탐험은 언제 하는 거죠? 전 곤충을 관찰하고 싶어서 모처럼 숲에 온 거라구요.”숲을 빠져나오면서 미션을 수행하느라 기진맥진해진 썰렁홈즈. 썰렁홈즈의 말에 파보니 벌레리나는 쪽지 하나를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정말 좋아하는 공부를 하면 누가 시키지 않아도 열심히 하게 되는 것 같아요. 동물에
대
해 호기심이 많고 알고 싶은 게 많아지면 꿈을 이룰 수 있을 거예요.마지막으로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에게 한마디 해 주세요.한 가지는 확실히 잘하면서도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갖는 사람이 되라고 말해 주고 ... ...
Part 2. 현
대
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미분방정식은 미지의 함수 f와, 그 함수를 미분한 도함수 f’으로 이뤄진 방정식이다. 가령 날씨 변화를 관찰해 시간과 온도, 습도 등을 변수로 미분방정식을 세우면, 그 방정식을 풀 ... 1. 의심스러운 토
대
위에 싹트다Part 2. 현
대
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
대
가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위험한 일을
대
신할 기계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다양한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과죠. 기계를 좋아하는 학생은 물론이고 ‘적성은 공
대
인데 무엇을 전공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학생도 환영입니다. 우리 과를 졸업하면 어떤 분야로도 진출할 수 있으니까요 ... ...
INTRO. 2015 행성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우리가 원하건 원치 않건, 우리 삶이 지극히 사소하고 일상적이건 아니건, 우리는 인류 최초로 행성을 탐험한 위
대
한 세
대
로 역사에 기록될 것이다. 직접 만든 탐사선을 태양계 끝 명 ... . 탐사선 : 위
대
한 여정의 시작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
대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수 금 지 화 목 토 천 해 (명)’태양계 행성 8개의 이름은 우주에
대
해 자세히 모르는 일반인들도 정확히 외우는 상식이다. 하지만 이런 행성들의 특징을 세 가지만 꼽아보라고 한다 ... . 탐사선 : 위
대
한 여정의 시작BRIDGE. 우리를 부르는 이상한 외계행성들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
대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발걸음은 아직 더디다. 김호원 부산
대
정보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기본적인 보안에
대
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사물인터넷 활성화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 ...
[Hot Issue] 굿바이 M16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이제는 탄의 관통력은 그
대
로 유지하면서 총열의 길이를 줄여 휴
대
성과 무게를 줄이는 게 개발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다.콜트의 라이벌들이 지속적인 투자와 R&D로 혁신을 주도할 때 콜트는 사업부진과 노사문제 등으로 혁신을 만들어내는 데 실패했다. 옛 영광만으로는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늘리는 다이어트 약품에
대
한 안전성 검증이 전혀 돼 있지 않다. 염지현 가천의
대
분자의학과 박사는 “베이지색지방은 연구가 시작된 지 5년도 채 되지 않았다”며 “치료제는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된 후에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가우디 그의 생각을 엿보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의 성가
대
석을 떠받치고 있는 기둥. 이 기둥은 나무의 모습을 그
대
로 재현한 것이다. 가우디는 갈라진 나뭇가지의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천장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도록 기둥의 비틀어진 각도를 모두 다르게 계산했다. 2010년 경에 건축가 조르디 보넷아르멩골의 지휘로 이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