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전국의 광역시와 서울을 지도에 표시하는데, 대구와 부산 사이에 연결선이 없는 대신 둘 다 서울과는 연결돼 있다고 가정해 보자. 대구에서 부산에 가려면 한 시간이면 충분한 직선 코스 대신 일단 서울을 들렀다가 다시 부산으로 가야 할 것이다(이렇게 연결선이 몰리는 서울 같은 곳을 ... ...
- [매스미디어]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죄수의 딜레마로 범인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확실해.심증 말고 물증이 있어야 할 거 아냐. 증거들이 하나같이 흐리멍덩하던데.둘을 잡을 증거는 없지만, 작전은 있어. 얘기하면 도와 줄 거야?서도연 검사가 쌍둥이 형제의 공동정범임을 밝히기 위해 생각한 작전은 바로 ‘죄수의 딜레마’다. 죄수의 딜레마는 수학의 한 분야인 게임이론 중에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세는 방법부터 남다르다. 보통 0~9까지 수를 셀 때는두 가지 방식을 사용한다. ‘영, 하나, 둘, 셋~아홉’으로 발음하는 한글 방식과, ‘공, 일, 이, 삼~구’라고 말하는 한자 표현 방식이다. 그런데 포병들은 두 가지 방식을 섞어서 ‘공, 하나, 둘, 삼, 넷, 오, 여섯, 칠, 팔, 아홉’이라고 부른다. ... ...
- [생활] 변덕쟁이 날씨를 예측한다! 기상 통계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만 편당 7~11회에서 4~6회로 줄었다고 해요. 이로써 연간 60억 원의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답니다.2. 비오는 날에는 피자빵, 불쾌지수가 높을 땐 샌드위치!프랜차이즈 빵집 B사는 ‘날씨 판매지수’를 개발해 판매에 활용하고 있어요. 날씨 판매지수란 날씨에 따라 많이 팔리는 빵을 수치로 ...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쓰는 물질이다. 세포 생명체가 DNA만을 쓴다면 바이러스는 DNA외에 RNA도 사용하고, 때론 둘 모두를 쓰기도 한다. 핵산 세 개의 배열(ATG,AUG 등)이 특정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시스템 또한 똑같다.같은 언어, 같은 말씨를 쓰는 두 사람은 동향(同鄕)일 가능성이 크다. 바이러스의 탄생 역시 같은 유전정보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최적이다.발이 두 개든 네 개든 걸어 다니는 로봇을 만드는 건 어렵다. 하지만 둘 중 어느 쪽이 더 어렵냐고 물으면 대부분은 두발로봇이라고 답한다. 아무래도 네발이 더 안정적이고, 넘어지지 않을 것 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히려 네발로봇이 더 만들기 어렵다. 로봇 휴보를 개발한 오준호 KAIST ... ...
- 생물학 - 거북 등딱지 가슴뼈에서 왔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오돈토첼리스와 고대 파충류인 사이노사우로스파르기스의 화석을 연구한 결과 이 둘 모두 내골격에서 유래한 껍데기를 갖고 있었다. 히라사와 박사는 “조만간 거북의 등딱지가 언제 어떻게 진화했는지 수수께끼를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미지 출처│ Alice Anerspreg ...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최대한 조심하긴 했지만, 양쪽 산봉우리 가운데 하나가 조금 무너지면서 낙석이 원주민 둘을 덮쳤다. 나머지 원주민들은 거대하고 붉은빛을 뿜는 검정 물체가 하늘에서 내려와 신을 데려가는 광경을 보며 하나같이 어떤 감정을 표했다. 그게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아마도 기쁨은 아니었을 ... ...
- 뒤통수 함부로 때리지 마라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더 확실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영재 학생과 보통 학생이 각각 편안히 있을 때(왼쪽 둘)와 창의적인 과학문제를 풀 때(오른쪽 둘)의 뇌파를 통계처리해 비교한 모습.과학문제를 풀자 영재의 뇌 특정 부위가 보통 학생과 다르게 활성화된다.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붉게 표시된다.2. 할 때 하고, 쉴 땐 ... ...
- [life & Tech]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다른 종이다. 참매미와 생김새와 소리가 비슷해 구별이 어려운데, 실제로 둘은 친척 관계다.소음 문제의 주범, 말매미몸집이 크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대표적인 남방계 매미로, 한국산 매미 중 가장 몸집이 크다. 몸 길이만 약 40mm다. 소리도 매우 커서 다른 매미가 같은 나무에서 경쟁하기 매우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