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목표"(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바’라고 부르는 부분이 스터드와 만나 합을 이룬다. 브릭의 기본 관계식브릭의 최종 목표는 여러 개의 작은 조각을 모아 사용자가 원하는 ‘무엇’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그러려면 결합과 해체가 쉬워야 하고, 아주 작은 조각이라도 오차를 허용해서는 안 된다.대표적으로 덴마크 레고사의 ...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비트는 것 같다. 긴 절차가 일견 낭비 같아도, 때론 그 과정 자체가 소중할 때가 있다. 목표보다는 중간 절차를 통해 더 많이 배울 때도 있다. 골드버그는 독특한 만평을 통해, 우리에게 그런 ‘느림과 어려움’의 매력을 가르쳐 준 게 아닐까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불러요. 사람 뇌와 완벽하게 똑같은 슈퍼컴퓨터를 만드는 것이 목표지요. 우리 뇌의 복잡한 구조를 기계로 구현하기 위해 지금까지 2000개가 넘는 칩을 넣어 컴퓨터를 만들었어요. 이 컴퓨터는 1초에 약 23조 개의 계산을 할 수 있지요. 하지만 이 기계는 아직 쥐의 뇌 구조와 비슷한 정도밖에 안 ...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관심을 갖는다. 아빠를 떠나보내고 웃음을 잃은 네이든에게 유일한 목표였다. 네이든은 험프리스 선생에게 교육 받으며 영국 대표 선발전을 준비한다.몇 년 뒤, 십대 소년이 된 네이든은 국제수학올림피아드 국가대표 선발전 예선에 합격해 후보 16명 안에 든다. 후보들은 대만으로 합숙훈련을 떠나 ... ...
- [교과연계수업]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가 더 가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싶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가 더 가려운 이유는? 3. 수업 목표 ① 환절기에 피부 가려움증이 심해지는 이유를 알 수 있다. ② 피부 가려움증을 느끼는 자극 경로를 알 수 있다. ③ 피부 가려움증이 통증의 일종임을 알고, 긁어도 계속 가려운 이유를 알 수 있다. 4. 교과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밖의 뇌’라는 뜻이다. 예컨대, IBM 왓슨처럼 의학 전문지식을 갖춘 대화형 인공지능이 목표다. 여기에 필요한 기술은 자연어 이해, 지식 학습, 자연어 질의응답 등 세 가지. 사용자가 말한 온전한 문장을 형태소 별로 분석해 문제에 들어 있는 제약 조건과 찾아야 하는 답의 유형을 파악한다. 단어와 ...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시스템의 거품이 꺼졌고, 인공지능 연구는 제2의 암흑기에 들어섰다. 연구는 더 구체적인 목표 아래 세분화됐다. 1950년대 학자들이 꿈꿨던, 인간을 쏙 닮은 순수한(?)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사라졌다. 그들은 인공지능의 하위 분야, 다시 말해 보다 특수하고 좁은 기계학습, 로봇공학, ... ...
- 거대 마젤란망원경, 설계 끝 건설 시작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6월 3일 GMT의 최종 설계 이미지를 공개하면서 2024년 정상 가동을 목표로 건설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GMT는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카네기 연구소의 라스 캄파나스 천문대 부지에 22층 높이로 건설된다. 완성된 GMT는 구경이 25.4m로 138억 년 전 원시은하의 빛처럼 약한 빛도 ... ...
- “건설환경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전혀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두 학문이 하나의 목표로 함께 나아가는 과정이 흥미롭고 매력적입니다. 예를 들면 심리학이 있죠. 언뜻 보면 정말 관련 없는 분야처럼 보이지만, 인부들의 심리적인 상태에 따라 건설환경의 안전과 생산성이 결정됩니다. 실제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돌연변이나 교배 등에서 차용한 수학 모델로 해를 조금씩 변형한다. 바꾼 해가 최종 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확인한다. 이 과정을 반복해 점점 더 좋은 해들을 만들어 낸다(동영상 참조). 뇌과학과 양자컴퓨터 더 발달해야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최근 애니메이션 ‘뽀로로’를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