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외부의 악의적 공격이나 내부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자율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을 서울대, 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무인열차의 취약점을 보완할 해결책도 제시했다. 관제센터에서 전달된 명령과 해커가 보낸 명령을 구분하는 것이다. ...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관측을 보완하는 저주파수 VLBI 관측으로 핵심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서울대 천문대와 함께 2020년부터 자체 전파망원경으로 EHT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도 갖고 있다. 블랙홀의 비밀을 벗기는 세기의 연구에 한국 천문학계가 기여했다는 점에서 더없는 자긍심을 느낀다 ... ...
-
- Intro. 올림픽의 그늘 - 지구인의 축제, 환경엔 재앙?!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안녕하더래요~. 강원도 산골에서 태어나 가리왕산에서 뛰놀던 고라니예요. 몇 년 전에 올림픽을 한다며 사람들이 저희가 살던 곳을 파괴해 식구들과 함께 다른 곳으로 이사했지요. 그런데 얼마 전 저희가 살던 곳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는 소문이 퍼졌어요. 정말인가요? Intro. 올림픽의 그늘 - ... ...
-
- Part 1. 평창올림픽 그 후, 가리왕산 복원 논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올림픽이 끝난 후, 제 고향인 가리왕산은 흉물처럼 방치돼 있네요. 소문을 종합해 보니 경기장을 짓기 전의 모습으로 되돌리겠다고 약속했다던데, 그 약속이 지켜질까요? 500년 산림에 활강경기장이 건설되다! 가리왕산은 수목이 울창하고, 희귀식물이 잘 보존돼 ‘천년의 숲’이라 불려왔어요. ... ...
-
- Part 3. 올림픽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연 훼손부터 어마어마한 쓰레기까지 올림픽은 그야말로 환경에게 재앙이네요! 엇, 그런데 환경을 보호하려 노력한 올림픽도 있다고요? 경기장과 환경, 두 마리 토끼 잡기!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올림픽은 환경을 생각한 최초의 올림픽으로 꼽혀요.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렸던 ‘ ... ...
-
- Part 4. 계주처럼 여럿이 함께 개최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환경을 먼저 생각한 올림픽도 꽤 있네요. 그런데 올림픽을 열 때마다 경기장을 건설할 수도 없고, 미래에도 올림픽이 잘 개최될 수 있을까요? 1국가, 1도시 원칙이 사라지다! 올해 6월 결정되는 2026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는 스웨덴의 스톡홀름과 이탈리아의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두 나라가 경쟁 ... ...
-
- [가상인터뷰] 똑똑한 앵무새가 더 매력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유전자는 다른 종의 발성을 배우고 따라 하는 발성학습 능력과 관계가 있어. 지난 2014년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김희발 교수가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이 조류들의 유전자 8000여 개를 분석한 결과지. 일리 : 아, 이제 너의 이상형을 말해줘~. 사랑앵무 : 난 똑똑한 수컷이 좋아. 지난 1월 10일, ... ...
-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식물의 이름을 표준화하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특히 눈여겨봐야 할 점은 일률적으로 서울말을 따라 표준화한 것이 아니라, 각 식물이 서식하던 지역을 기준으로 표준 이름을 정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큰쥐방울’ ‘긴쥐방울’ ‘등칡’ ‘칡향’ ‘통초’ 등으로 지역마다 다르게 불리던 ... ...
-
- 20대 '신선한' 난자 얼리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016/S0140-6736(14)61728-1, doi: 10.2147/IJWH.S75635이들은 여성에게 ‘커리어 해방’을 가져다줄까? 서울마리아병원 가임력보존센터의 광고 카피는 “사랑도 보존이 되나요?”다. 난자 냉동은 항암치료를 앞둔 환자는 물론 사회적인 이유로 출산을 미루는 여성에게 아이를 언제 낳을지 결정하는 선택권을 ... ...
-
- '오로봇'의 부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의심 없이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한반도 공룡의 생활사를 연구하는 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이번 연구가 좋은 시도인 것은 맞지만 학문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로봇을 만드는 과정에서 무수한 예측값들이 들어간 만큼 이번 연구도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