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센터"(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처음엔 간단한 서류작업 때문에 만난 사이였어요. 그런데 강 연구원님이 제 일을 자기 일처럼 깔끔하게 해 주신 걸 보고 ‘이런 사람 ... 설립하고, 연구소기업으로 등록한 뒤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또 후각융합연구센터를 설립해 후각신경계를 이용한 융합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돌고래쇼에 이용되던 삼팔이가 바다에 돌아가 새끼를 낳은 모습(➋).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처음으로 자연부화에 성공한 따오기(➌).못친 대표로 뽑힌 블롭피시에서는 지난 4월 22일부터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에서 가장 매력적인 동물을 뽑는 온라인 투표 이벤트를 진행했어요. ... ...
- Part 3. 발암물질을 추적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간접흡연의 지표, NNAL이번 프로젝트에서 가장 주목한 유해 물질은 소변에 들어 있는 ‘NNAL’이에요. NNAL은 담배 속 발암물질인 NNK가 우리 몸에 들어간 뒤, 간에서 해독 작용을 거치면서 변한 물질이지요. 간은 우리 몸에 들어온 나쁜 물질의 독성을 줄이고, 이 물질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해요. ... ...
- Part 4. 금연, 온가족이 함께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금연이 어려운 이유는 ‘니코틴의 중독성’프로젝트에 참가한 21가족 중 5가족은 금연을 하는 데 실패했어요. 금연 약을 먹으며 속이 울렁거리는 부작용을 겪기도 했고,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담배의 유혹을 뿌리치기 힘들었던 거죠. 실제로 보건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자신의 의지만으로 금연할 경 ... ...
-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년으로 길고, 심지어 뜨거움 같은 통증도 잘 느끼지 못한다. 독일 막스 델브뤼크 분자의학센터 연구팀이 최근 그 이유를 밝혀냈다.연구팀은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 주목했다. TrkA 수용체는 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뇌에 통증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 ...
- [News & Issue] 동물카페 동물들이 사는 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환자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나왔다. 이를 조사한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수인성질환과 연구팀은 ‘국내 최초로 분리된 살모넬라 티렌에 의한 감염 예’(임상미생물학회지 2016, 19(1), 24-27)라는 논문에서 “야생동물과 특수반려동물은 심각한 동물원성 질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미칠수 있다. 오랫동안 외로움에 대해 연구해온 미국 시카고대 사회인지 및 뇌과학 센터장 존 카치오포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극심한 외로움을 지속적으로 느끼면 병에 걸릴 위험이 14%나 높아지며, 면역계와 유전자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극심한 외로움을 느끼면 몸은 ... ...
- Part 2. 간접흡연도 흡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부모님이 금연을 한다면 자녀의 몸속 발암물질이 줄어들까요? 는 국립암센터와 함께 부모님이 금연을 했을 때 자녀의 건강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직접 확인해 보기로 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발암물질로부터 가족을 지켜라!Part 1. 백해무익, 담배!Part 2. ... ...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센타우리가 태양을 닮았다는 연구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스미스소니언천체물리학센터 연구팀은 프록시마 센타우리 표면을 관찰한 결과, 태양의 흑점처럼 어두운 부분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영국 왕립천문학회 월간보고’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브레드 와젤린 천문학 교수팀은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입자를 물리쳐라!토양이 아닌 신소재를 이용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우주방사선 공학자 조나단 펠리쉬 연구원은 “방사선 입자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비슷한 크기의 고에너지 입자를 우주선(혹은 거주지)에 씌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눈에는 눈, 이에는 이’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