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배추 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 인자 등 중요한 기능을 하는
유전자
500여 개가 포함돼 있다. 이
유전자
는 배추과 작물의 진화 경로를 밝히거나 항암 배추와 같은 기능성 작물을 만들 때 유용하다. 문 박사는 “다양한 맞춤형 배추 품종을 개발할 수 있는 지도를 얻은 셈”이라고 말했다 ... ...
수혈 받을 피, 미리 만들어 놓고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떼어낸 세포에 넣었다. OCT4
유전자
는 피부 세포를 혈액 세포로 바꾸는 데 필요한
유전자
중 하나다. 이 결과 피부 세포는 혈액 세포의 전 단계 세포인 조혈전구세포로 바뀌었다. 이 조혈전구세포를 배양하면 수혈에 필요한 양의 피를 확보할 수 있다.연구팀은 또 조혈전구세포에 특수 단백질을 추가해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실제로도 평균 자녀수가 이성애 남성보다 훨씬 적다. 따라서 몇 세대 지나지 않아 동성애
유전자
는 솎아져야 한다. 이 딜레마를 해결하는 가설 가운데 하나는 게이의 형제 역시 동성애까지는 아니지만 여성적 취향이 있어 오히려 여자들이 더 좋아한다는 것. 실제로 게이의 형제는 평균 남성보다 ...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검은 피부가 필요했던 거야. 네 짝은 그런 필리핀 엄마의
유전자
를 받았기 때문이고.작은 생김새의 차이가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이렇게 높여 주는 줄은 몰랐어요. 게다가 우리 모두가 같은 조상을 가진 먼 친척이라니…! 엄마, 이제 제 짝이 싫지 않아요. 오히려 환경에 적응한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서식하는 수달과 경북 울진에 사는 산양의 개체수를 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밝힌 연구도
유전자
원은행의 연구 덕분이다. 또 우리나라의 고유종과 자생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밝히는 연구에도 도움을 준다. 유전적 다양성은 생물다양성의 기본 요소이기 때문에 멸종위기종을 보전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는지 아직도 모르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 ‘이기적
유전자
’의 저자인 리처드 도킨스 옥스퍼드대 교수와 수십 년간 지속해 온 ‘과학적 유신론 논쟁’으로 유명한 앨리스터 맥그레스 런던 킹스칼리지 교수는 믿음과 종교라는 근본적인 부분에서도 과거에 대한 ... ...
조건 따지는 사랑도 본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춤을 춘다. 춤을 잘 추는 게일수록 암컷에게 인기가 많다. 그래야 나중에 그처럼 우월한
유전자
를 가진 새끼를 낳을 수 있다. 플라티타서스 달랑게를 보면 남자고 여자고 이성에게 매혹당하는 이유로 상대방의 ‘준수한’ 혹은 ‘아름다운’ 외모를 드는 것은 본능에 따르는 행동이다.반면 사라탄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유전자
조절, 신호전달 네트워크를 설계해 둔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생물의 대사회로와
유전자
를 인위적으로 바꿀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미리 예측할 수 있어 정확하고 빠르게 원하는 미생물을 만들 수 있다.지난 5월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는 미생물의 게놈을 사람이 디자인한 합성세포를 ... ...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바이오화학-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생명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맞춤형
유전자
등 의료기술 발전도 가져오고 있다. 하지만 더 주목해야 할 것은 ‘에너지’다. 미생물을 이용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 기술을 통해 나무나 볏짚 등이 석유 화합물을 대체하는 바이오매스 연료 시대가 올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교수의 경우 산타가 유전공학기술을 적용하는 건 사슴이다. 산타의 썰매를 쓰는
유전자
조작 사슴은 하늘을 날 수 있고 뾰족한 지붕에서도 균형을 잡을 수 있으며 어둠 속에서도 앞을 잘 볼 수 있다. 하지만 실버버그 교수는 사슴이 썰매를 끌긴 하지만 아이들의 선물 꾸러미를 끌지는 않는다고 봤다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