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양도
이주
이사
천거
이식
전출
d라이브러리
"
이전
"(으)로 총 3,756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LTE만 느린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KT에게 할당되는 것은 특정기업만을 위한 특혜”라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반면 KT는 “
이전
에 할당 받은 900MHz 주파수가 쓸 수 없는 ‘불량주파수’였던 만큼 꼭 우리가 받아야한다”는 입장이다.이정우 교수는 “만약 KT가 주파수를 할당 받으면 KT가 서비스하는 LTE가 타 통신사의 LTE-A보다 더 빨라질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소년의 폐는 완전히 망가져 흐물흐물해져 있었다. 분석결과
이전
까지 인간이 감염된 적이 없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밝혀졌다. 소년은 공식적으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5N1의 첫 사망환자가 됐다.계절독감으로 익숙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잘 수용할 수 있는 곳으로 바뀌었다. 물론 리스터의 소독법만이 이를 일군 것은 아니다.
이전
에도 많은 의사들이 청결법을 이용했고 수술 및 병원 환경은 점점 나아지고 있었다. 소독법이 일구어낸 것은 세균 전파를 막으면 더 나은 수술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약속, 즉 의학과 병원이 준 생명에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역전사효소와 레트로바이러스의 기원은 적어도 현재의 세포 형태가 완성 되기
이전
으로 거슬러 올라가야만 설명이 가능하다.그러나 세 가지의 기원 가설이 모든 바이러스의 탄생을 설명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홍역이나 광견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는 음성가닥 RNA라는 또 다른 형태의 유전체를 ... ...
빙하가 물러나면 자주범의귀가 핀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아니에요. 북극 기온이 증가하면 식물의 성장기간이 늘어나고 남쪽에 살고 있던 식물이
이전
에 살 수 없었던 북쪽으로 이동하게 되죠. 남쪽에 살고 있는 식물도 예전보다 광합성을 활발하게 하기 때문에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이 증가해요.즉 동토층이 녹으면 이산화탄소 또는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그런 힘이 강한 것으로 유명했다. 하지만 자신을 규정하는 모든 관계의 기록을, 특이점
이전
의 용어로 말하자면 ‘기억’을 회복하는 것과 생존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였다.“머리를 열어 봐.”“어떻게 하면 되지?”어쩔 수 없이 미로의 사고회로 최상위에 얹혀 있는 기본 프로토콜을 불러냈다. 이 ... ...
돈 벌기 힘든 세상일수록 뜨는 학과가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그전까지 인간이 만든 총 데이터양보다 많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는 2012년을 포함해 그
이전
까지 만든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만들 것입니다.”조 교수는 데이터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요즘은 ‘빅데이터(big data)’라고 한다. 조 교수팀의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취재는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어려운 문제를 풀거나 수학을 응용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
이전
에 수학의 아름다움을 즐기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수학의 아름다움!백창빈(성남 수내중 3)나는 이번 취재를 통해서 전에는 몰랐던 수학의 아름다움을 보고 느낄 수 있었다. 특히 ... ...
1차원 - 제돌이, 바다로 돌아가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보면 개체를 구분할 수 있다. 만약 처음 보는 지느러미라면 새로운 식별번호를 붙인다.
이전
에 봤던 지느러미라면 그 개체가 잘 살고 있다는 뜻이다. 남방큰돌고래 8호도, 10호도 그랬다. 하지만 9호는 아니었다. 사람들이 JBD009를 다시 발견한 것은 제주 바다가 아닌 경기도 과천에 있는 서울대공원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개 정도 볼 수 있었는데, 뇌과학연구소는 무려 600만 개를확인했다. 이렇게 자세히 보면
이전
에 몰랐던 신경다발을 찾을 수 있다.뇌 사진 한 세트를 촬영하는 데 약 3시간이걸리는데, 그 사이에 머리를 움직이면 사진이 흐려진다. 뇌의 주인공은 선명한 사진을 얻기 위해서 여러 차례 찍는 수고를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