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반"(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용하기 때문에 중량이 가볍다. 전기식 이온엔진의 연비는 화학연료엔진의 10배 정도다. 일반 화학엔진에 비해 단일 추진력은 매우 약하지만 연료량에 따라 수개월에서 수 년까지 가동할 수 있기 때문에 속도가 점점 누적돼 더 빨라질 수 있다.예를 들어 화학연료식 추진으로 하면 달까지 가는 데 2 ... ...
- [Origin] 진정한 이타성은 불가능한가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결론은 여전히 실망스러웠다. 그러나, 진화 생물학 초심자였던 프라이스가 자연 선택의 일반 이론을 단박에 찾아냈다는 사실이야말로 자비로운 신이 예정한 ‘기적’이 아닐까. 프라이스는 혼란스러웠다. +더 읽을거리Frank, S. A. (1995). George Price’s contributions to evolutionarygenetics. Jou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스타인버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3호
- 09년 체코 수학자 즈데네크 드보르자크와 로빈 트호마스, 다니엘 크랄은 그뢰치의 정리를 일반화한 문제를 풀었습니다. 즉 ‘삼각형이 있더라도 삼각형끼리의 거리가 매우 멀면 그 평면그래프는 3색으로 칠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증명에는 10100 정도로 매우 큰 상수가 등장하는데요. ... ...
- [2017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즐거운 수학 체험수학동아 l2017년 03호
- 설명하는 힘이 있습니다.국가수리과학연구소와 대한수학회는 수학을 좋아하는 국내 일반고 학생들이 수학의 힘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캠프에서 친구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학의 매력에 더 깊이 빠져볼까요?-대상: 수학을 좋아하는 고등학생 50명-시기: 여름 방학 또는 ... ...
- [과학뉴스] ‘마이크로 물방울’로 엽록소 반응 관찰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단위로 측정했다. 그 결과 탈금속반응이 수십 μs의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것을 알아냈다. 일반 용액(약 1mL)으로 실험한 결과에 비해 1000배 이상 빠른 속도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엽록체를 보호하고 광합성 효율을 조절하는 산화방지반응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버전과 아빠 버전 두 가지 종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을 대립유전자(allele)라고 합니다.일반적으로 세포는 엄마로부터 받은 유전자와 아빠로부터 받은 유전자를 구별하지 못하고 두 개 모두를 발현시킵니다. 그러나 여기에 예외가 있는데요. 각인 유전자(imprinted genes)라고 해서, 정자 또는 난자 ... ...
- [Origin] 잠자는 사자는 과연 너그러운 걸까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선택(어떤 집단은 번성하지만 다른 집단은 쇠락하는 과정)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진화에서 중요한 요인이 되긴 어렵다. 선택은 여러 수준에서 일어나지만, 높은 수준보다 낮은 수준에서의 선택이 더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불필요한 가정의 수를 되도록 줄이라는 검약의 원리를 ... ...
- [Future] 집 나간 국민생선이 돌아왔다! 명태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알에서 부화한 어린 새끼고기에게 적합한 저온성 먹이생물이 당장 없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어류 종자를 생산하는 데 먹이생물로 사용하는 동물성 플랑크톤인 로티퍼는 25℃ 이상에서 잘 자란다. 그래서 명태가 살고 있는 차가운 물에 로티퍼를 넣자 활력을 잃고 수조 바닥으로 가라앉았다. ... ...
- Intro. 올겨울, 더 독해지고 빨라졌다! 독감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가득 찼죠. 3, 4일씩 앞당겨 방학에 들어간 학교도 있었답니다.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 성인들도 1월까지 유난히 기승을 부리는 독감에 시달려야 했어요. 올겨울, 왜 이렇게 독감이 심한 걸까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올겨울, 더 독해지고 빨라졌다! 독감의 습격Part 1. 학교를 강타한 ... ...
- 2017 태국 탐사대 달콤한 맛과 향의 도시 지난 2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달콤함을 만들어내는 것은 바로 팜슈가, 즉 야자나무에서 뽑아낸 야자 설탕이다. 일반 설탕보다 훨씬 달고, 향이 좋은 천연 설탕이다. 탐사대원들은 이 맛의 근원지를 찾아 나섰다. 탐사대가 간 곳은 룽타놈 야자나무 농장으로, 펫차부리에서 가장 큰 야자나무 농장이다. 탐사대원들이 방문하자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