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정"(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지구 기후의 마지막 퍼즐 남극과학동아 l2014년 02호
- 1000m까지 지속적으로 온도가 떨어지는 수온약층이 있다. 그 아래로는 온도가 1~4℃로 계속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이곳을 심해층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남극은 이 구분이 의미가 없다. 애초에 해수면 부근이 0℃ 안팎으로 온도가 낮기 때문에 혼합층부터 심해층까지 수온이 거의 유사하다. 그러나 남극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이렇게 보면, 까치는 번식이 굉장히 어려운 새다. 개체군 전반적으로 봐도 번식성공도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새끼의 건강 상태도 해마다 큰 변동폭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환경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까지의 증거를 보면, 까치의 번식 ... ...
- PART2 서로 돕고, 교역하고, 견제하라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선택할 비율은 낮아지며 0.6 이상에서는 전쟁 확률이 0이 됐다. 민 교수는 “교역이 일정 규모를 넘어서야 경제와 평화가 비례한다”며 “애매한 수준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은 오히려 전쟁의 가능성을 높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평화를 유지하려면 경제적으로 매우 복잡하게 의존해야 한다는 ... ...
- 물컹물컹 움직이는 신기한 유리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멋진 작품을 만드는 걸 볼 수 있대. 어서 가보자!불어라~, 후후! 커져라~, 유리!유리는 일정한 모양과 부피를 가지고 있는 고체 물질이에요. 아주 뜨거운 열에 녹으면 끈적끈적한 꿀 같은 액체 상태로 변하죠. 액체 유리는 물과 달리 열을 가해도 끓지 않고, 쉽게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성질을 갖고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m : n이 된다는 것이다. 이 원리를 확장하면 단면의 비가 일정하면 단면을 합한 부피도 일정하다고 말할 수 있는데, 이는 입체를 잘게 쪼개서 부피를 구해도 된다는 걸 의미한다. 카발리에리의 원리는 부피를 잘게 쪼개어 적분하는 ‘구분구적법’의 시초가 됐다. ➊ 17세기 당시 유럽에서는 포도주 ... ...
- 비트코인도 털린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담고 있다. 그리고 수학적인 암호로 잠겨 있다. 이 암호를 해독한 사람에게 상금으로 일정량의 비트코인을 준다. 아무나 참여할 수 있으며, 만약 여러 사람이 힘을 모아서 해독했다면 기여도에 따라 나눠 갖는다.비트코인이 서서히 알려지면서 사람들이 하나둘씩 합류했다. 이들은 암호 블록을 ...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1호
- 환자에게 알려 준다.알고리즘으로 주식도 거래한다던데, 맞나요? yes알고리즘 거래란 일정한 논리 구조, 즉 알고리즘에 따라 주식을 자동으로 거래하는 방식이다. 주식 시장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과 투자자의 주식 거래 성향, 그리고 거래 비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주식 가격이 입력한 가격에 ...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잘 때나 여름에 활동할 때 근육조직과 근력에 차이가 없다. 근육을 전혀 쓰지 않아도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말이니 헬스장에서 힘들게 운동하는 사람들이 들으면 눈이 뒤집히고 기가 막힐 일이다. 박쥐가 겨울잠을 잘 때 근육이 위축되지 않는 이유는 각성기에 열충격단백질(HSP)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출발했다. 덴마크의 지질학자 니콜라스 스테노가 1669년에 현미경을 이용해 ‘면각 일정의 법칙’을 확립한 뒤, 위대한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빌딩유닛(Building Unit) 개념을 이용해 이 법칙의 원리를 설명했다. 오일러 이후 1800년대 후반에는 에바리스트 갈루아의 이론이 결정학에 영향을 미쳤다. ...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불규칙하게 배열된 고체는 비정질이라고 해. 유리나 고분자 플라스틱처럼 녹는점이 일정하지 않은 고체 몇몇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고체는 결정으로 존재하고 있단다. 결정일 때 가장 안정적이기 때문이래.결정을 전자현미경이라는 걸로 보면 대칭구조를 이루며 주기적으로 배열돼 있어. 눈꽃의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