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별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한편 타이어와 바닥 사이의 마찰력만으로는 추진력을 얻는 데
한계
가 있다. 그래서 영화 ‘배트맨’에 나오는 배트카는 제트엔진을 달고 불을 뿜듯 내달린다. 제트엔진은 마찰이 아니라 기체를 분사하면서 얻는 작용-반작용 힘이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추진력보다 훨씬 더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구경이 커질수록 많은 빛을 모을 수 있지만 분해능은 제자리걸음이다. 분해능의
한계
는 지구 대기가 결정한다. 아지랑이 넘어 물체가 흔들려 보이듯, 공기의 움직임으로 천체의 영상이 흔들리는 시상효과 때문이다. 공기가 희박한 곳에서는 이런 효과가 작아 더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펨토초(10-15초) 레이저 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핵자기공명법이 갖는 시간분해능의
한계
도 가볍게 뛰어넘는다.단백질 시료를 준비한 뒤 2~3가지 진동수의 적외선 레이저를 10-15초마다 한 번씩 쪼인다. 그리고 거기서 얻는 스펙트럼을 분석해 단백질 분자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한다. 즉 ... ...
X선 광전자 분광법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추측할 뿐이다. 감각의 80%를 시각에 의존하는 인간에게 눈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것은 큰
한계
였다. 그러나 이제는 눈으로 몸속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원리는 X선이나 자기장의 ‘투과성’이다. X선이나 자기장은 인체 각 조직의 성분과 밀도에 따라 투과되는 에너지 양이 다른데, 과학자들 이런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일은 분명 극복해야 할
한계
라고 이야기하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이는 극복해야 할
한계
가 아니라 넘어서는 안 될 경계라고 주장한다.인간 행동을 규정짓는 생물학적 특징을 이해하는 일이 무슨 의미가 있냐며 회의적인 사람들이 있는 반면, 인간이 생물학적으로 접근해서는 안 될 정도로 특수한 ... ...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모두 이런 벌집 구조로 만들어지고 있다.지구만 한 망원경이 있다?망원경 하나의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 천문학자들은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망원경을 연결해 큰 구경의 효과를 내는 것. 이것이 간섭계로, 아직 광학망원경 분야에서는 어렵지만 전파망원경에서는 널리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길이 막히는 것은 아니야. 잘 들여다보면 길이 막히는 원인이 따로 있어.도로 용량의
한계
지름이 커서 단면적이 넓은 파이프에는 작은 파이프보다 같은 시간 동안 더 많은 물이 지나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선이 많은 넓은 도로에서 더 많은 차가 다닐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차선 위를 달릴 수 ... ...
푸와의 과학올림픽, 금메달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5호
기록을 재려면 순간의 동작도 정확하게 잴 수 있는 측정 기술이 필수거든. 우리가 인간의
한계
에 도전하는 가슴 벅찬 순간을 만끽할 수 있는 것도 다 이런 측정 기술 덕분이라구!2000분의 1초까지 잡는다!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른 사람인 자메이카의 우사인 볼트 선수의 100m 달리기 기록은 9초72. 지난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실시간으로 취합해 자료로 보관하는 역할을 맡은 국제소행성센터는 자료처리역량이 곧
한계
에 다다를 것이라며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더 큰 문제도 남았다. 우리가 감시하는 지구접근천체들은 대부분 태양계 내부소행성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태양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행성인 해왕성 바깥에도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반복하며 시행착오로 얻거나 우연히 발견했기 때문이다. 이런 방법은 신약을 개발하는데
한계
가 있을 수밖에 없다. 모델링으로 새로운 단백질 설계한다 최근에는 컴퓨터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한 뒤 모델링 방법으로 안전하고 빠르게 약물을 만드는 일이 가능해졌다.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김동섭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