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자탐방] 멀티스케일 설계 창의연구실 컴퓨터, 화가에 도전하다!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화려한 색채로 두 남녀의 입맞춤을 표현한 구스타프 클림프의 ‘키스’를 연상케 하는 미술작품이 있다. 그런데 이 작품은 놀랍게도 인공지능 시스템을 이용해 컴퓨터가 스스로 그린 그림이다. 더 놀라운 것은 자동차나 비행기 설계에 이용하는 수학 원리를 적용한 결과라는 것이다.이것이 어떻게 ... ...
밴 앨런 대, 알고보니 세 겹이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알려져 있던 ‘밴 앨런 대’가 세 겹으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국
항공
우주국 (NASA)은 작년 8월 30일 발사한 ‘밴 앨런 대 탐사선’의 측정 결과를 분석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 3월 1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밴 앨런 대’는 태양풍이나 우주선에 포함돼 있던 플라스마 상태의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발사했다가 다시 지구로 귀환시키는 임무를 위한 연습용으로도 쓴다. 홍일희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 나로호경영팀장은 “미국이나 일본 같은 우주기술 선진국도 처음에는 사운딩 로켓을 이용해 시험하는 방식으로 경험을 쌓았다”고 설명했다. 로켓 기술도 마찬가지다. 로켓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 ...
세라믹 없으면 스마트폰도 없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원래 1960년대 강화 유리로 개발된 제품이다. ‘근육 유리’라는 이름으로 자동차나
항공
기 등에 쓰이다가, 2000년대 중반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재조명됐다. 기존 유리로 스마트폰을 만들면 쉽게 깨지거나 주머니 속의 동전이나 열쇠 같은 물건에 긁혀 흠집이 잘 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쓸 수 ...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실험에 한창이다.가상현실에서는 이미 달착륙 ‘성공’연구팀은 2012년 12월, 전남 고흥군
항공
센터에서 가상 달착륙 실험에 성공한 적이 있다. 인공적으로 만든 달 환경에서 탐사선의 추진장치에 실제로 불을 붙여 추진력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로켓에 불은 붙였지만 실제로 비행은 하지 ... ...
➍ 서갑양 기계
항공
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멀티스케일은 여러 가지 스케일(규모)이라는 의미입니다. 자연계는 단일 스케일이 아니에요. 나노단위부터 마이크로까지 다양합니다. 나무를 보면 굵은 줄기가 있고 작은 가지, 잎까지 각 스케일이 다 의미가 있죠. 곤충의 날개도 그렇고요. 이런 것을 연구하려면 멀티 스케일로 해야 하죠. 도마뱀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뿜어져 나오며 급격히 팽창해 절대온도* 1K(영하 272℃)까지 차가워진다. 현재까지 미국
항공
우주국에서 관측한 기록 중 가장 온도가 낮은 곳이다.*절대온도 : 원자가 운동하는 에너지를 기준으로 측정한 온도다. 절대온도의 정의를 처음 만든 켈빈 경의 이름을 따서 단위를 K(켈빈)로 표시한다. ... ...
과학도 풀지 못한 미스터리 조각, 흑피옥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이야기를 빼고 순수하게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연구자가 있는지 살펴봤다.우실하 한국
항공
대 교양학과 교수가 있었다. 수천 년 전 동북아시아 고대 문명과 사상을 연구하는 몇 안 되는 전문가 중 한 명이다. 흑피옥을 수집한 소장가와 교류하고, 스스로도 중국을 오가며 흑피옥을 수집하고 연구했다.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이론상으로는 우주 어디에서 블랙홀이 충돌해도 그 중력파를 검출할 수 있다.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이 추진했던 우주 중력파검출기는 진동을 피하기 위해 반대로 우주에 설치한다. 리사(LISA)라고 불린 이 검출기는 인공위성에 실린 세 대의 검출 장치로 이뤄져 있다. 각 검출기는 ... ...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150t급
항공
기가 시속 360km로 충돌해도 단 5cm만 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교한
항공
기보다 150배 이상 더 빠른 유성에 직격으로 부딪히면 누구도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 운동에너지는 속도가 빨라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기 때문이다.만약 서울 상공에서 이번과 똑같은 유성체(소행성)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