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효성
유익
실용
useful
도용
횡령
쓸모있음
뉴스
"
유용
"(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헉! 초속 300m ‘초강력 슈퍼 울트라’ 토네이도
2014.09.05
영화 '인투 더 스톰'에서 토네이도를 쫓는 토네이도 헌터. - 워너브라더스 제공 가장
유용
한 장비는 ‘도플러 레이더’다. 구름을 향해 레이더 빔(beam)을 쏘면 빔은 구름 속에 있는 물방울이나 수증기 입자, 얼음 알갱이 등에 부딪쳤다가 돌아온다. 이때 어떤 물질에 반사되느냐에 따라 빔이 감소한 ... ...
바이오디자이너는 뭘 디자인 할까?
2014.09.05
기능성 소재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먹이로 삼아
유용
한 물질로 바꿀 수도 있다. 실제로 연구단은 인삼에 많이 들어 있는 약효 물질 ‘사포닌’을 미생물에서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효모에 사포닌을 만드는 유전자를 넣어 일주일 만에 20년 된 산삼에서나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신호를 높은 감도로 포착할 수 있었다”며 “정밀한 뇌신경 3차원 지도 작성에
유용
할 뿐 아니라 치매, 파킨슨병 등의 전기 치료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ACS 나노’ 12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금나노 탐침을 이용한 뇌 신경 분석결과. ... ...
ECR이 만든 푸른색 플라스마 별
2014.08.25
실험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 이 장치는 기초과학 연구뿐 아니라 산업 분야에도
유용
하게 쓰일 전망이다. 이온원에서 만든 이온빔을 이용하면 물질 표면을 가공하거나 새로운 특성을 갖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원 소장은 “부산센터에 세계 최고 수준의 종합 이온빔 연구 시설을 구축해 ... ...
암 진단과 치료를 한 번에
2014.08.19
암 진단에 쓰이던 불소-18이나 탄소-11보다 수명이 길어 의료용 영상 연구에 매우
유용
할 것”이라며 “자체적으로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능력까지 지녀 암 진단과 치료를 한 번에 하는 융합진료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그는 “내년부터 암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한 방사성 의약품 개발과 임상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개발하는데 실패했고 예외적으로 콩과식물이 미생물의 힘을 이용해 질소를 고정, 즉
유용
한 화합물로 만들고 있다. 이 밖에 지각과 대기에서 반응으로 질소 분자가 아닌 다른 형태의 질소화합물이 만들어진다. 1784년 프랑스 화학자 베르틀로가 암모니아가 질소 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세 개로 ... ...
석촌 싱크홀, 지하철 9호선 공사 탓?
2014.08.14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도로가 처진 정도를 측정해 땅 속의 지지력을 측정하는 장비(FWD)도
유용
하다. 서울시는 지난해 GPR 장비와 FWD 등을 도입해 도로의 균열과 평탄성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PMS)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지표 가까운 곳의 상태만 관측할 수 있고 이미 들어선 건물 지하의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같은 천연대체감미료를 쓰면 좋겠지만 워낙 비싸기 때문에 사카린 같은 인공감미료가 꽤
유용
할 것이다. 그러나 인공감미료 자체의 유해성 여부는 둘째 치고라도, 우리 몸이 섭취한 음식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얻는가에 대한 메커니즘이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인공감미료를 지나치게 ... ...
유독가스·전염병바이러스 한 번에 검출한다
2014.08.10
유포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강물의 국내연구진이 각종 환경연구나 사건사고나 전쟁당시
유용
하게 쓸 수 있는 ‘생화학센서’ 개발에 쓸 수 있는 새로운 원리를 찾아내고, 이를 설계기준으로 제안했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정기훈 교수 연구팀은 물질의 고유한 산란광을 포착해 생화학 센서 ... ...
헉! 종이 로봇의 트랜스포머 3단 변신
2014.08.08
가능한 로봇은 우주 공간이나 방사능 오염 지역처럼 인간이 접근하기 힘든 지역에서
유용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에서도 종이접기 로봇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최근 자동차 바퀴를 종이접기 방식으로 만든 ‘타이어 로봇’을 6월 홍콩에서 열린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