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신소개"(으)로 총 2,4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 되짚어보기] 뒤바뀌는 인류 연표… ‘사피엔스’의 시대는 언제부터인가동아사이언스 l2017.10.18
- *지난 여름, 과학 소식을 열심히 듣던 사람들은 한동안 어리둥절했습니다. 우리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가 태어난 시점이 바뀌었다는 뉴스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20만 년 전으로 알고 있었는데 30만 년 전으로 더 앞당겨졌다고 합니다. 그런데 논문 한두 편 나왔다고 수십 년 알던 일이 바뀔까요? 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2017.10.17
- 우리가 약을 먹을 때 겪는 부작용은 대부분 역위약(노세보) 효과 때문이다. - 조 머천트 지난해 여름 ‘기적의 치유력’이라는 책을 재미있게 읽었다. 과학 관련 글을 쓰는 사람에게는 일탈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원서 제목은 그저 ‘Cure(치유)’로 의학박사 출신의 과학 저널리스트 조 머천트가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17) 공생, 기생 혹은 악의2017.10.15
- ● 네 줄 요약1. 공생은 서로 이득을 얻는 안정적 관계다. 2. 기생은 한쪽만 이득을 취하는 관계인데, 끝없는 경쟁을 유발한다. 3. 악의는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피해를 주겠다는 것으로, 불안정 전략이다. 4. 이타주의는 장기간에 걸친 지연 시간 공생으로, 인류가 이룩한 독특한 안정 전략이다. 모 ...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2017.10.14
- “자신을 사랑하세요. 자 따라해 보세요. 나는 사랑받을만한 사람이다! 나는 멋진 사람이다!” 이런 류의 자존감 처방을 심심치 않게 마주하곤 한다. 자존감이라는 것의 정의 자체가 내가(自) 나를 존중(尊)하는 느낌(감)이라는 두루뭉실한 거라서 나는 사랑받을만한 사람이라고 멋진 사람이라고 수 ... ...
- [테마가 있는 영화] 환상의 팀플레이 ‘스포트라이트’2017.10.14
- # 영화 ‘스포트라이트’ 감독: 토마스 맥카시 출연: 마크 러팔로, 마이클 키튼, 레이첼 맥아담스, 리브 슈라이버, 스탠리 투치 장르: 드라마, 스릴러 상영시간: 129분 개봉: 2016년 2월 24일 관람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주식회사 더쿱 제공 (*아래에는 영화 ‘스포트라이트’에 대한 스포일러가 있습니 ... ...
- 3D 프린터로 자전거 넘어 자동차 만든다, 유니스트 김남훈 교수동아사이언스 l2017.10.13
- ‘3D 프린터로 자동차를 만들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우연한 기회에 SNS에서 본 사진 한 장. 김남훈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이하 유니스트) 기계항공 및 원자력공학부 교수의 페이지였다. 사진엔 ‘3D 프린터로 인쇄한 자동차’라는 제목으로 노란 차 한 대가 자태를 뽐내고 있었다. ‘설 ... ...
- [사이언스 팩트체크] 미국 총기사고 빈발하는데... 총기 소유가 개인 안전 지켜줄까동아사이언스 l2017.10.12
- 지난 10월 1일 밤(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일어났다. 59명이 사망하고 527명이 부상한 사상 최악의 사고였다. 총기 난사 사건은 미국에서 상당히 자주 일어나는 범죄다. 미국 비영리단체 ‘총기 사건 아카이브(Gun Violence Archive)’에 따르면, 미국에서 지난 2015년에 일어난 ... ...
- 할머니의 아픈 무릎을 대신하는 손자의 ‘스마트 저울’, 킥스타터 펀딩 중!동아사이언스 l2017.10.11
- “할머니댁이 언덕 위에 있는데, 해가 갈수록 할머니께서 점점 장보는 걸 힘들어하셨어요. 시장도 멀고요. 그래서 할머니 냉장고 속 재고 파악을 쉽게 하고, 문앞까지 배달해주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상상해 봤어요. 그렇게 탄생한 ‘iScale(아이스케일)’입니다.” ● 스마트 저울, 고등학생 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체스 대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게임은 첫 게임과 마지막 게임이다. - 시드니 브레너와 J.D. 버널 그(로널드 코놉카)는 지도교수인 시모어 벤저와 함께 일주리듬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논문(1971년 ‘미국립과학원회보’ 68권 2112쪽)을 발표했다. 이 분야는 이어지는 45년의 많은 부분을 이 로제타석 ... ...
- [때와 곳 25] 처가: “사위 사랑은 장모”라는 말이 실감나는 곳2017.10.07
- 어떤 집을 ‘처가’(妻家)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은 그 집의 사위뿐이다. 그 사위의 아내에게 그 집은 친정이고, 그 부부가 낳은 자녀에게는 외가이고, 그 자녀의 외숙모에게는 시댁이고, 그 외숙모의 부모에게는 사돈집이다. 이처럼 그 집은 누가 일컫느냐에 따라 실체감이 다르다. 21년 전부터 내게 ... ...
이전1381391401411421431441451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