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뉴스
"
결과
"(으)로 총 26,616건 검색되었습니다.
밀접 접촉자 빠른 격리 조치 효과 뚜렷하다...입국자 격리 효과는 미미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2003년 사스 유행 당시 대만의 입국자 격리 조치에 대한 대만 국립충싱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
를 참고했다. 대만은 2003년 사스 발발 당시 사스가 발발한 국가에서 입국한 9만 5000여 명을 가정에 최대 14일간 격리조치했다. 당시 연구에서는 이들을 격리조치하지 않았어도 최대 511명의 사스 환자가 추가 ... ...
'코로나19 환자 10명 한꺼번에 검사한다'는 취합검사법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덧붙였다. 홍기호 서울의료원 진단검사의학과장도 이날 브리핑에 참석해 “실험
결과
10개의 검체를 하나로 만든 10배 희석 이하로 사용이 가능하다"며 "다만 2배 희석한 경우는 실제 시간과 자원을 절약하는 효과가 미미하므로 현실적으로는 4배 희석부터 10배 희석까지 모든 배수를 상황에 맞게 ... ...
내달초 코로나19 치료제1건·백신 2건 영장류 실험…문 대통령 "백신 개발에 2100억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기간을 줄여주기로 했다. 여러 기관에서 같은 내용으로 진행할 임상은 단일기관 심사
결과
를 인정하기로 했다. 생활치료센터 환자도 임상대상에 포함시키고, 임상 절차도 간소화 하는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또 국제 공조를 강화하기 위해 국내 감염병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아시아 지역을 ... ...
국내 연구진, 세계에서 가장 정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 지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감염된 뒤 단백질을 만들기 위한 중간 과정으로 생산하는 ‘전사체’ 전체를 해독한
결과
를 생명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셀’ 9일자에 발표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리보핵산(RNA)이라는 유전물질 약 3만개로 이뤄진 게놈을 가진다. 인체 세포에 침입하면 게놈 자체를 복제하고 게놈을 이용해 ... ...
"코로나19 바이러스 유전자, 전파력·병원성 변이 발견 안 돼"
연합뉴스
l
2020.04.09
유전자를 식별하고자 증폭한 유전자 부위를 말한다. 진단검사에 매우 중요하다. 이런
결과
에 대해 질병관리본부는 "코로나19 유전자 변이에 따른 검사 오류 발생 등을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내외 연구자들이 코로나19 연구에 활용할 수 있게 ... ...
‘다목적 방사광 가속기’ 유치전 막 올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지난 3월 27일 공고한 추진계획에 따라 4월 8일까지 이뤄진 접수 마감
결과
를 9일 공개했다. 4개 지자체가 유치의향서를 제출했으며 지자체가 제공하는 부지를 대상으로 선정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유치의향서를 제출한 지자체는 4월 21일까지 지질조사 보고서를, 4월 29일까지 유치계획서를 ... ...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
과학동아
l
2020.04.09
위해 머리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분류한 거북 개미 89종의 유전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유전적으로 가장 오래된 군인 거북 개미의 머리 형태는 사각형이었고, 지금까지 11종류의 형태가 출현했다가 현재는 4종류만 남게 됐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진화 과정에서 특이했던 건 거북 개미의 머리가 ... ...
'절대0도에 근접한 궁극의 차가움' 극저온 분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열을 빼앗아 온도를 극단적으로 낮췄다. 다만 이 때에는 핵스핀의 온도만 낮춘 반쪽짜리
결과
였다. 기체 자체의 온도를 낮춘 기록은 2003년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MIT가 기록한 20억 분의 1K가 최고 기록이다. 현재 인류는 100pK보다 낮은 온도까지 도전 중이다. 이 온도는 지상이 아닌 400km 상공의 ... ...
'껌만 씹어도 배부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질환과 섭식질환을 치료할 새로운 지식을 알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팀의 연구
결과
를 정리한 그림이다. 입과 식도, 위 등에서 감지된 음식물이 닿는 느낌이나 팽창하는 느낌 등 물리적 자극은 밝혀지거나 밝혀지지 않은 신경회로를 따라 각각 전달돼 후뇌의 고립로핵(NTS)를 거쳐 부완핵(PB ... ...
그래핀 표준저항 국산화 성공…세계에서 세 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발생기술이 쓰이는 기기의 신뢰성을 키우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지난달 4일 국제학술지 ‘응용물리학 레터스’에 실렸다. 김완섭,박재성,채동훈 책임연구원(위쪽부터)이 저항표준 정밀측정시스템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 ...
이전
1428
1429
1430
1431
1432
1433
1434
1435
14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