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7년 만에 귀환한 우주탐사기‘ 하야부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지구와 통신마저 두절됐지요. 하지만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는 4개월간의 노력
끝
에 하야부사의 동력장치를 비상용 이온엔진으로 바꾸는 데 성공했고, 결국 7년 만에 지구로 돌아오게 만들 수 있었어요. 하야부사는 7년 동안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인 1억 5000만㎞의 약 40배인 60억㎞를 ... ...
뚝딱 뚝딱~ 고물의 이유있는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달라니, 좀 어려운 미션인걸? 하지만 걱정 마. 명예기자의 초특급 정보력으로 수소문한
끝
에 특별한 곳을 알아 냈거든. 바로 서울 충무아트홀에 자리하고 있는 ‘반쪽이의고물 자연사박물관’!얼핏 보기에 이 곳은 고물을 이용해서 여러 가지 모양의 동물을 만들어 놓은 평범한 전시장처럼 보였어. ... ...
대칭 vs 비대칭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있어서 아주 효율적이다. 둘째, 일할 재료를 효소의 몸에 붙이는 힘이 강해진다.
끝
으로 여럿이 모이면 크기가 커지면서 겉넓이가 줄어든다. 효소는 물 같은 주변 물질에 계속 닿다 보면 자칫 그 모양이 변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겉넓이가 줄면 주변에 드러나는 부분이 작아지기 때문에 ... ...
맛있는 그림! 세잔의 정물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손잡이는 옆에서 본 모습이지요. 심지어 맨 앞에 있는 테이블은 흰 천을 사이에 두고
끝
이 서로 어긋나 있어요.정말 이상하지요? 모두 바라보는 시점이 여러 개이기 때문에 가능한 거예요. 미술가들은 이렇게 하나의 그림에 시점이 여러 개 숨어 있는 기법을 ‘세잔이즘’이라고 불렀답니다 ... ...
특종! 고슴도치 섬에 우주인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3
직접 알아봐야겠어. 함께 가 보지 않을래? ▲전라북도 부안군에 있는 섬 위도.왼쪽
끝
이 고슴도치 입부분이고 그 아래쪽에 있는 작은 섬은 고슴도치 먹이라는 뜻의 ‘식도’예요.김현준 (위도고등학교 3학년) : 고산 형? 물론 봤지~! 나랑 악수도 했는걸? 와서 뭘 했냐고? 우리 위도 중·고등학교 ...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2
눈에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눈은 작아지고 몽고주름이 생겼다. 몽고주름은 눈 양
끝
을 두툼히 덮으며 안구가 바람과 접촉하는 면을 줄여 준다. 눈이 어는 것을 막기 위해 눈두덩에 지방이 쌓여 눈꺼풀도 두툼해졌다.보이지 않아도 진화하고 있는 유전자몸 속 유전자도 각 지역의 환경에 맞게 ... ...
모로코왕궁 침투작전
수학동아
l
201012
두 방향으로 각각 숫자만큼의 칸을 직선으로 움직이며 순찰한다.경비는 순찰 지점의
끝
에서 다른 경비와 만날 수 있는데, 그곳에는 항상 90°로 꺾이는 길이 있어 서로 수직 방향으로 걸어와 만난다고 해. 이 순찰 경로는 모두 한 줄로 이어지고. 어서 경비가 지나지 않는 곳을 찾아 내라.”“알았다. ... ...
조건 따지는 사랑도 본능!
과학동아
l
201012
아는 사람이라고 해서 그냥 덥석 주지는 않는다고 한다. 강아지를 데려다가 책임지고
끝
까지 사랑으로 보살필 수 있을지, 집 안팎의 환경이 강아지가 지내기에 알맞은지, 혹시라도 어릴 땐 예쁘다고 키우다가 다 자라면 귀찮다고 마당 한구석으로 내몰지는 않을지 이것저것 따져보게 되더라는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12
창의성의 5가지 영역 유창성 : 주어진 시간에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 융통성 :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하게 사고하는 능력 독창성 : 새롭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창출하 ... (나) 각 꼭짓점에 모이는 변의 개수는 모두 같다. (다) 꼭짓점은 모두 삼각형의 변의 양
끝
에만 위치한다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12
또 이곳에는 나무가 없기 때문에 펭귄까지도 땔감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인간의 탐욕의
끝
은 과연 어디까지일까.세종과학기지 주변에서는 ‘도둑갈매기’ 스쿠아(Stercorarius parasiticus)도 볼 수 있다. 스쿠아는 오리보다 조금 큰 새로 발에는 물갈퀴가 있고 부리는 매와 닮았다. 닥치는 대로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