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값"(으)로 총 3,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실험실] 피보나치 계단 위에서 본 나선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이웃한 두 수에 대해 큰 수를 작은 수로 나누어 비율을 구하면 두 수가 커질수록 그 값은 황금비(약 1.618)에 가까워진다. 그래서 피보나치 나선을 ‘황금나선’이라 부르기도 한다.피보나치 직사각형과 직육면체피보나치 직사각형피보나치 정사각형 여러 개를 연결하면 피보나치 직사각형을 만들 수 ... ...
- 게임으로 수학 배운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109, 190, 1009, 1090, 1900, …도 모두 행복한 수란다. 행복한 수가 1이 되기까지 나온 결과 값들도 모두 행복한 수야. 19가 1이 되기까지 거쳤던 82, 68, 100은 모두 행복한 수인 셈이지.그런데 이런 수를 왜 행복한 수라고 부르냐고? 현재의 모습이 어떠하든 마지막은 결국 하나(1)가 되는 수 ... ...
- 서울동북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수학동아 l2011년 03호
- 사용하는 ‘12분 24초’와 같은 시간은 최소눈금이 1초인 시계로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참값이 될 수 없다는 것도 배웠거든요. 수업에 함께 참여한 홍유위 학생은 “아주 작은 부분이지만 오늘 공부한 내용이 중학교에 올라가서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어요.여러 개념을 정리한 뒤 학생들은 ... ...
- 코끼리 무덤의 진실수학동아 l2011년 03호
- 같아요. ‘G = 30, 2, 15 G = 39, 3, 6 G = 5, 17, 3 이 세 개의 그룹을 각각 수식으로 만들어서 같은 값이 나오게 하면 코끼리 무덤으로 가는 구역이 나온다’ 라고 적혀 있는데요.”“아직도 코끼리 무덤을 찾아 헤매고 있는 사람들이 많구나.”그 헛된 것에 관심을 쏟는 사람이 여기 한 명 더 생긴다. 바로 ... ...
- 수준별 수학 교과서가 도입되는 이유수학동아 l2011년 03호
- 교사와 학부모, 학생에게 조사했다.[평가방법 1] 45+19의 값을 구하시오.[평가방법 2] 45+19의 값을 구하는 과정을 쓰시오.[평가방법 3] 왜 45+19=64인지 서로 다른 3가지 방법으로 설명하시오.그 결과 ‘평가방법 3’이 가장 교육적이라는 반응을 얻었다. 이에 따라 현행 대한민국의 수학교육을 정상화하는 ... ...
- 금성과 달의 모양 변화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궤도는 원에 가깝다. 금성은 수성과 함께 내행성이기 때문에 최대 이각을 가지며, 그 값은 48°다(수성의 최대 이각은 42°다). 지구는 1시간에 15°씩 자전하므로, 일출 전 혹은 일몰 후 3시간까지 금성을 관측할 수 있다. 금성의 공전 주기는 225일이고, 공전 속도는 약 35km/s이다(지구의 공전 속도는 30km ... ...
- 알파벳에 숫자 넣기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식을 만족하는 동시에 B+E=A를 만족하는 A는 4밖에 없습니다(A=2가 되면 조건을 만족하는 B, E값이 없기 때문에). 따라서 A=4, C=2이 됩니다. ❸ 나머지 B와 E는 B+E=A(4), C(2)+B=E를 연립방정식으로 풀면 E=3, B=1이 됨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두 조건을 만족하는 C는 4밖에 없으며, 따라서 A는 2가 됩니다. ...
- Part 3. 확률과 전략이 절묘할 때 승리하는 윷놀이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여러번 나올 수 있는데, 이때는 이동하는 칸 수에 비해 나올 확률이 워낙 작아 0에 가까운 값이 된다. 즉 도1×0.2+개2×0.31+걸3×0.34+윷도5×0.12×0.2+윷개6×0.12×0.31+윷걸7×0.12×0.34+모도6×0.03×0.2+모개7×0.03×0.31+모걸 8×0.03×0.34+윷윷도9×0.12×0.12×0.2+… ≒ 2.85 ...
-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02호
- 텐데, 그럼 스티븐은 {1, 1, 5}, {1, 2, 4}, {1, 3, 3}, {2, 2, 3} 중에서 고민해야겠네요. 각각의 P의 값은 5, 8, 9, 12가 되어, 이번에는 S < P가 되는 경우가 여럿입니다. 즉, S < P를 안다고 해도 스티븐은 세 수를 알아낼 수 없습니다.● P=7, 11, 13일 때를 차례로 생각해봐도 S < P가 ...
- 연산 정복하기 ②!수학동아 l2011년 02호
- 학생들은 어떤 문제를 만날 때 실수를 하나요?바로 출제자가 정해준 연산의 정의대로 값을 대입해 계산하는 연산 부분이죠.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하나들게요.연산 a★b=a+b-2a라 할 때, b★a를 일차식으로 표현해 보세요.이 문제를 정확하게 풀려면 무엇보다 새로운 연산 a★b의 정의를 이해하는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