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급
보급
제공
조달
공급계약
계약
이바지
d라이브러리
"
공급
"(으)로 총 2,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물론 과학자들은 인공미생물이 영양분이 충분히
공급
되는 실험실 환경에서만 자랄 수 있는데다 유해한 유전자가 모두 제거됐기 때문에 안전할 것이라는 논리를 펴고 있다.그러나 최근의 유전자변형 농산물 논쟁에서 보듯 인간이 거꾸로 돌린 진화의 수레바퀴가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생겨난다. 심지어 뇌 시계중추를 완전히 손상시킨 동물에게 특정 시간에만 먹이를
공급
하기를 반복하면 고장난 뇌시계와는 상관없이 적어도 간에서 자율적인 시계리듬을 회복시킬 수 있다. 세상 모든 것은 완전한 통제가 불가능한가보다. 시간치료법 인간의 활동 시간대의 구분이 점점 ...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새들의 풍경으로 그 자체로도 큰 가치를 지닌다. 그러나 철새들의 핵심 서식처이며 먹이
공급
처인 을숙도 남단과 명지갯벌에 6차선인 명지대교를 건설한다는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명지갯벌을 매립해 조성한 명지주거단지에 고층화 계획이 현실화되면 을숙도 철새도래지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우주시대를 맞이해 지구 주위를 여행하는 우주선과 지상에 정확한 시간을
공급
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더 정확한 시계가 필요한데, 원자분수시계는 GPS에 장착된 시계보다 약 1백배 더 우수하다.한편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광펌핑 세슘원자시계, 저속 원자빔 ... ...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에너지원 이상의 의미를 갖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몸이 필요로 하는 필수지방산을
공급
하기 때문이다. 필수지방산은 몸이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체내 여러 대사과정을 수행하는데 꼭 필요한 성분이다. 하지만 몸에서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에 꼭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필수지방산은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사이에 박혀있다. 멜라닌생성세포 1개는 대략 40여개의 각질세포에 멜라노솜을
공급
할 수 있다. 각질세포가 멜라노솜을 더 많이 받을수록 피부색이 짙어진다. 실제로 짙은 피부색일수록 각질세포내 멜라노솜 숫자가 많고 골고루 퍼져있다. 또 멜라노솜의 크기도 더 크고 멜라닌 색소도 많이 함유하고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있어야 한다. 주기관이 멈춰도 보조기관을 움직여 비상구조신호와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각 장비의 담당자들은 비상시에 그 장비를 어떻게 구조할 것인지를 미리 생각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배에 있으면 죽는다는 공포심이 들겠지만, 배만 생각할 필요는 없다는 뜻이다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극성을 부리는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 미꾸라지를 사용한다면 모기퇴치와 더불어 식량
공급
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미꾸라지의 먹이는 물바닥 진흙 속의 유기물질, 물 속의 이끼와 조류 그리고 모기와 깔따구 유충 등이므로 외래생물 유입에 따른 생태계 교란에 큰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 ...
철새 핵심서식처 관통하는 5.1km 다리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자연생태공원으로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보호단체는 둔치가 철새들의 먹이
공급
처면서 생활공간이기 때문에 철새에게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자연생태계를 유지하던 낙동강 하구에 인간의 손길이 닿은 것은 1987년 하구둑이 건설되면서부터다. 낙동강 하구의 변화로 ... ...
1 명태 줄어들고 해파리 난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제목으로도 잘 알려진 명태는 먹거리가 부족한 겨울철에 값싸고 맛있는 훌륭한 영양
공급
원이었다. 그러던 것이 요즘에는 서민들이 쉽게 맛보기 힘든 비싼 생선이 됐다. 잡히는 수가 갑자기 줄었기 때문이다. 반대로 오징어는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잡히고 있다. 우리나라 바다에 무슨 일이 있는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