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간편해지고, 여러 가지 물리현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죠. 양자역학에 지수함수가
꼭
필요한 이유입니다.물리학을 전공한 고독한 미식가는 대학교에서 양자역학이 제일 어려웠답니다. 난해한 개념도 개념이지만 계산이 굉장히 복잡해 실수하기 일쑤였지요. 곱셈도 쉽고 미적분하기도 편한 ... ...
[생활] 2015 SOFT.WARE 진로 가이드로 미래를 설계하세요!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부족하다고 해요. 그래서 소프트웨어 인재를 길러내는 일이 시급하다고 합니다.그런데
꼭
어렸을 때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아야 하는 걸까요? 빌 게이츠도, 마크 주커버그도 초등학생 시절부터 프로그래밍을 공부했어요. 그리고 그때의 경험이 어른이 돼서 일을 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해요. ... ...
[생활] 수학나라로 간 피노키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는 다르다. 딸꾹질이 나서 티가 나도 하고 싶은 말을 하며 당당하게 산다. 그런 인하에겐
꼭
하고 싶은 일이 있다. 바로 기자다. 눈치보지 않고 당당하게 사실만을 말해야 하는 기자라면 누구보다 잘 할 자신이 있었다. 하지만 어렵게 시작한 기자 생활은 생각과 많이 달랐다.다들 밋밋한 팩트(사실)에 ... ...
[창의] 1화 지하 이분의 일층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헛웃음이 나왔다. 들썩이던 등도 조금은 진정됐다. 삼촌이 꽁꽁 얼어버린 찬이의 손을
꼭
잡았다.“자 이제부터, 하나씩 세면서 내려가는 거다. 자 하나!”“스물 아홉!”을 마지막으로 계단은 끝났다. 삼촌과 찬이는 거대한 유리문 앞에 섰다. ‘용문지하상가’라는 글씨가 문에 들어왔다. 삼촌이 ... ...
2014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씩씩해진 것 같다”며, “여기 모인 대원들 가운데 미래의 지구를 책임질 생태학자들이
꼭
나올 것이라 생각한다”고 대원들을 칭찬했답니다.이날 제인 구달 박사님은 지사탐을 위해 특별 영상 편지를 보내왔어요. 제인 구달 박사님은 “지금 대원 여러분의 활동은 먼 미래에 여러분의 손자손녀들이 ... ...
2014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미래의 생태학자들, 한자리에 모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4호
씩씩해진 것 같다”며, “여기 모인 대원들 가운데 미래의 지구를 책임질 생태학자들이
꼭
나올 것이라 생각한다”고 대원들을 칭찬했답니다.이날 제인 구달 박사님은 지사탐을 위해 특별 영상 편지를 보내왔어요. 제인 구달박사님은 “지금 대원 여러분의 활동은 먼 미래에 여러분의 손자손녀들이 ... ...
문화재 런닝맨 창덕궁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빨개진 얼굴로 궁 이곳저곳을 탐색하고 다녔지요. 다들 한 손에는 스마트폰을
꼭
쥐고요. 대체 무슨 일이냐고요? 이날 창덕궁에서 ‘떴다! 청소년 문화재지킴이 기자단 현장취재의 날’ 행사가 열렸거든요. 여기엔 아주 특별한 ‘런닝맨’도 출동했다는데…. 어과동 명예기자인 재윤이와 태희가 ... ...
도심의 숨구멍, 환풍구를 안전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아파트 등 바닥에 환풍구가 설치된 곳도 많아요. 그 위에서 절대 놀거나 뛰지 마세요.
꼭
밟고 지나가야 할 경우에는 조심조심, 재빨리 이동하세요. ③ 환풍구 덮개 철망이 막히거나 이물질이 들어가면 공기 순환이 잘 안 돼요. 깨끗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절대 쓰레기를 버리지 마세요 ... ...
쌍잠자리는 왜 같이 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많은 동물에게 잘 발달되어 있답니다. 금슬 좋은 부부를 상징하는 원앙은 번식기 때
꼭
붙어다닌다. 이는 암컷이 다른 수컷을 만나지 않도록 경계하는 짝 지키기’ 전략이다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몸집을 더욱 키울 수 있었어요. 산소는 생물이 먹이를 먹고 이를 에너지로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이에요. 자신의 몸무게를 감당할 만큼 몸집에 비해 다리가 굵은 것도 비결이었어요. 하지만 그 만큼 먹이를 많이 먹어야 하므로 환경이 급격히 변했을 때 사라지고 말았지요. 현존하는 거대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