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깔
색상
색채
색깔
컬러
칼라
색조
d라이브러리
"
색
"(으)로 총 2,754건 검색되었습니다.
꿈꾸미와 함께 떠나는 과학관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동하는데,
색
소마다 이동하는 속도가 달라. 그 결과 한가지
색
으로 보이던 잉크가 여러
색
깔로 나뉘어 퍼지는 거야(❸). 꿈꾸미의 소개를 따라 즐겁게 놀다 보니, 어느 새 시간이 훌쩍 지났구나. 우리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정말 좋아하겠는걸? 하지만 과학의 달은 이제 다 가 버렸는데…. ... ...
누가 피터팬의 그림자를 가져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흐름으로 생각할 수 있어요. 좀 더 쉽게 비유하자면, 빛은 기관총에서 튀어나온 여러가지
색
깔의 총알이 흐르는 것과 같지요. 따라서 빛 알갱이가 물체에 부딪혀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림자가 생기는 거랍니다. *빛을 이루는 작은 알갱이 : ‘광자’라고 불러요.이런 세 가지 사실에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잡아먹히기가 쉬웠다. 결국 검은 후추나방이 살아남기에 유리했던 것이다. 최근에는 회
색
후추나방이 다시 늘고 있다. 학계에서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자연을 지켜온 결과라고 주장하고 있다.나뭇가지 재고 다니는 자벌레꼬불꼬불 말려 있는 덩굴을 뚫어져라 보지 않으면 여섯 번째 용의자를 ... ...
하얀 이 검은 이, 자연선택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멜라닌
색
소 때문으로 자외선의 손상을 막기 위한 전략”이라며 “깃털 이도 원래는 몸
색
깔이 짙었을 텐데 밝은 깃털에 기생하면서 밝은 쪽으로 진화한 걸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
당신이 감각에 속고 있다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운동선수를 인지할 수 있다. 눈의 건강상태가 정상이라면, 동일한 상황에서 동일한
색
깔의 빛을동일하게 느낀다. 눈에 운동선수의 모습이 성립되는 상황과 동일한 빛이 눈에 쏘이면 눈은 이 빛을 수용하고 시신경을 거쳐 대뇌에 전달한다. 이 과정은 운동선수의 실제 모습을 보고 운동선수의 모습이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상관없이 입사량이 거의 변하지 않는다. 그래서 태양활동이 활발한 극대기에도 하늘의
색
은 변하지 않는다.우주쓰레기 쌓이고 극자외선 지표까지 들어와열권이 수축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사실 열권의 대기 밀도가 낮아지면 인공위성에게는 나쁘지 않다. 인공위성의 운동을 방해하는 대기의 ... ...
[생물] 생물과 환경의 관계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못하며 청
색
광만이 통과하기 때문에 깊은 곳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붉은
색
광합성
색
소를 주로 갖고 있을 것이다. 요컨대 빛의 파장과 수심의 관계 때문에 환경의 차이가 발생했고, 깊은 곳으로 갈수록 홍조류가 많이 살게 됐다. 3. [난이도 상] dN/dt=rN 형태의 단순한 수리적 모델은 개체군이 무한정 ... ...
빅뱅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색
이 다릅니다. 다른 사람 머리의 불
색
깔은 보면 알 수 있지만, 자기 머리 위의 불
색
깔은 어떻게 알아낼까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없으니 논리적으로 추측해야 합니다.이 문제와는 다르지만 다른 사람의 마음 속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하니 떠오르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죄수의 ...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다른
색
의 선글라스를 끼고 있는 것과 같아서 태양에서 나오는 빛 중에서 원하는 영역의
색
만 골라서 볼 수 있지요. 눈으로 직접 보는 게 아니라 태양의 빛을 받아서 컴퓨터로 보는 거랍니다. 1.8m 왕눈이 도약망원경천문학자들이 도약망원경이라고 부르는 1.8m 광학망원경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 ...
바닷물 파래질수록 태풍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식물플랑크톤은 녹
색색
소(클로로필)를 갖고 있다. 육상식물의 녹
색
잎과 마찬가지로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유기물(포도당)로 바꾼다.연구팀은 “지난 세기에 비해 지구상에 살고 있는 식물플랑크톤의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고 밝혔다. 식물플랑크톤 수가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