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식
식전
형
양식
제전
공식
방법
d라이브러리
"
식
"(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재교육원 입시 어떻게 달라졌나?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문제보다는 주제를 파악하거나 상황을 주고 어떤 주제를 설정하며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식
으로 많은 생각과 창의성을 요구하는 문제가 증가했다는 평가다.영재교육에 도전하는 학생들은 개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혼자서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능력을 끌어내는 학생들이 있는 반면, 학원의 ... ...
요리조리 꼼꼼 자연을 그린 그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멀리 있는 산을 마을보다 크고 뚜렷하게 그리거나, 수평선으로 하늘과 바다를 구분하는
식
이었지요. 그럼, 어떤 그림이 있었는지 한 번 볼까요?수평과 수직으로 이뤄진 풍경!는 프랑스 마르세이유 근처의 에스타크라는 작은 마을에서 본 바다의 경치를 그린 작품이에요. 소나무 ... ...
기상천외 드라큘라백작의 모기 퇴치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사용할 때는 자기 전 두 시간 정도만 켜 두고 반드시 환기를 시켜야 한다.모기 상
식
3.모기와의 전쟁에서 이기려면?어떻게 하면 올 여름 모기와의 전쟁에서 건강하게 이길 수 있을까요? 그 비법을 소개합니다!❶ 가장 친환경적인 방법은 모기장을 써서 모기를 막는 것이다. 모기향은 자기 전 두 시간 ... ...
분자에 숨어 있는 수학 법칙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쓰이는 분자다.안트라센의 탄소 개수는? 각각의 벤젠고리 집합을 A, B, C라고 하면 아래
식
으로 금방 구할 수 있다. 그런데 세 번째 고리가 나프탈렌 위에 올라가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 화학적인 이유 때문에 벤젠고리는 아니지만 어쨌든 탄소 6개로 이뤄진 고리다. 이 분자의 한 가운데에 있는 ... ...
컴퓨터로 수학 배우는 영국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도형을 그린 다음 좌우를 바꾸거나 움직이면 도형의 대칭과 회전을 쉽게 공부할 수 있다.
식
을 풀거나 그래프를 그릴 때도 효과적이어서 수학 수업에 재미를 더한다.컴퓨터로 수학을 스스로 배우는 수업도 있다. 학생들은 컴퓨터실에 서 일주일에 한 번씩 수학을 공부한다. 7학년 여학생 ‘조’의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들을 낳는 한약을 지을 수 있다는 황당한 주장은 과학적으로 반박하기 이전에 상
식
적으로도 받아들이기 어렵다. 게다가 의사와 간호사 자격시험 문제는 공개되는 반면 한의사 자격시험 문제는 비공개다. 한의학이 외부로부터 객관적인 평가를 받을 길을 하나 막아버린 셈이다.선진국에서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앞발 근육으로 먼저 땅을 박차고 솟아오른 뒤 날개를 활짝 펴서 공기를 타고 비행하는
식
이다.피츠버그대의 마이클 하비 교수는 “익룡의 앞발 근육은 몸무게의 20%인 50kg에 달했다”며 “큰 익룡의 몸체를 들어 올릴 만한 힘이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익룡은 날개가 커 큰 추진력을 얻을 수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차의과학대 암연구소 김성진 소장은 “자신의 ‘네이처(본성)’를 이해해야 몸에 맞는 음
식
이나 약물을 취해 건강해질 수 있다”며 “한의학의 체질과 현대과학의 개인게놈은 서로 만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20여 년간 근무한 경험이 있는 김 소장은 “미국이나 유럽은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대해 논리적인 결론을 이끌어내는 추론능력을 묻는 문제다. 물리, 화학, 지구과학의 지
식
이 고루 활용된 제시문이 주어졌다. 논제 3은 그래프 해석을 이용한 자료 해석형 문제다. 원자핵은 전기적으로 전하를 갖지 않은 중성자와 양(+)의 전하를 띤 양성자들의 모임이다. 같은 전하 간에는 강한 ... ...
단원편
식
증을 이겨 내자!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주인공으로 하는 문제로 바꿔 다시 한 번 풀어보면 전보다 더 친근한 문제가 돼 편
식
증 극복에 도움이 될 거예요.마지막으로 수학 공부를 왜 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누구나 한 번쯤은 ‘이 골치 아픈 수학 공부를 왜 해야 할까?’라고 생각해 본 적 있겠죠. 수학은 고유의 내용을 가진 과목이자 다른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