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맞춤형 자전거를 찾는 6계명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넓게 잡느냐 좁게 잡느냐에 따라 허리를 숙이는 정도가 결정된다.속도보다 자전거를
안정
하게 탈 수 있는데 치중한 모양이다.경주용 자전거는 손잡이를 쇠뿔 모양으로 아래로 휘게 만들어 드롭바라고 불린다. 드롭바의 위쪽을 잡으면 일자형 자전거처럼 편하게 탈 수 있지만, 빠르게 달릴때는 ... ...
남자가 여자의 눈물에 약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성격이 돼요. 또 여자의 눈물 냄새를 맡은 남자들은 심장이 더 천천히 뛰는 등 마음도
안정
됐어요.박사팀은 앞으로 남자의 눈물이 여자에게 어떤 특별한 화학작용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PART 2 수학이 밝히는 자전거의 5가지 신비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더이상 앞바퀴를 크게 만들 필요가 없었다.앞뒤 바퀴의 크기가 같으면 자전거는 가장
안정
하다. 앞뒤 바퀴의 축이 같은 높이를 이루기 때문이다. 안전 자전거라는 이름도 중심을 잡기 쉽고, 안장의 높이가 낮은 자전거라는 점을 부각시키려 지은 것이다.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자전거 바퀴는 지름이 2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시사하는 강력한 증거라고 생각했다. 불
안정
한 라디칼인 일산화질소는 좀 더
안정
한 물질인 아질산염(NO-2)이나 질산염(NO-3)으로 쉽게 바뀌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자동차업계에서 쓰는 화학발광 측정 장치를 이용하기로 했다. 화학발광이란 분자가 화학반응을 할 때 빛을 내는 현상이다.당시 배양한 ... ...
Part 1. 구제역 전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없다”며 “이런 변형은 온도가 높을수록 빨리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한편 단백질의
안정
성은 용액의 산성도에도 민감한데 산성이나 염기성에서는 쉽게 변형돼 감염력을 잃는다. 올 겨울은 유난히 추워 산성이나 염기성인 소독액이 얼어붙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제대로 죽이지 못하고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위해 첨가물을 넣기도 한다. 설탕이나 효소(아밀라아제), 화학적첨가물(유화제, 보습제,
안정
제) 등이다. 설탕에 절인 과일이 오랫동안 촉촉함을 유지하는 것처럼 떡에 설탕을많이 넣으면 부드러움이 오래간다. 아밀라아제는 전분 입자들을 뭉치게 하는 수소결합을 끊어 노화를 늦춘다. 그러나 이런 ... ...
아름다운 무지개다리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사다리꼴인 사각기둥 모양의 돌을 서로 끼워 넣어 반원을 구성하고 있는데, 이런 구조는
안정
성과 내구성이 뛰어나서 서양의 다리구조에서도 발견된다.자! 앞의 실험에서도 보았지만 중심이 같고 반지름의 길이가 다른 두 원을 이용해 이런 돌 모양을 수학적으로 설계 할 수 있다.첨성대도 원형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점), 즉 지구와 태양 중력이 모두 같은 곳이 대상이 되고 있다.이 곳은 역학적으로 매우
안정
돼 위치를 벗어나도 저절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태양에너지 2%를 줄이려면 반사장치를 30만km2 면적으로 깔아야 한다. 우주 반사장치의 가장 큰 장점은 설치 후 기온 감소가 불과 몇 년 안에 빠르게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현재 이 교수팀은 생체모방 로봇 눈의 성능을 개선하고
안정
화시키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여기에 쓰인 근육형 형상기억합금 구동부를 이용해 로봇을 작고 가볍게 만드는 연구도 하고 있다. 이 교수는 “연구가 완료되면 인간의 시각인지 기능을 높이기 위한 ... ...
집게냐 손가락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개발했습니다. 휴보가 태어난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는 로봇의 걸음걸이나 시스템
안정
성을 주로 연구하는 곳이라 손가락에는 신경을 쓰기 어려웠을 텐데, 정말로 세밀한 곳까지 연구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휴보2의 손은 사람의 손동작을 흉내 내는 데 주력하는 ‘앤트로포모르픽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