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찾아야만 한답니다. △우주 방사선은 지구의 대기와 자기장에 충돌하면서 분열한다.에너지가 큰 우주 방사선은 분열 후 지상으로 비처럼 쏟아져 내리기도 하지만(위 그림),대부분은 지구 대기에서 흡수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다와 우주에 둥둥~! 미래 도시가 온다Part 1. 도시 ... ...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적용한 수소이온 세라믹 연료전지를 개발한 손지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고온에너지재 료연구센터장은 “나노기술은 현대 과학의 빌딩블록(건축물을 만드는 벽돌)”이라고 말했다. 저마다 겉모습이 다른 건물들처럼 모양과 쓰임새는 달라도 수많은 연구에서 나노기술을 쓰고 있다는 뜻이다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다양한 분류군에 있는 남세균 41종의 게놈 데이터를 뽑고, 세포호흡(산소로 당을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기준으로 계통수를 그릴 수 있었다. 그 결과 남세균의 ‘족보’는 크게 세 개의 가지로 갈라짐을 알 수 있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 세 가지다(doi:10.1126/science.aal3794)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태양열도, 핵융합도 쓰지 않았다. 시간여행의 기술을 발전에 쓰고 있는 게 분명했다. 에너지 생성용 터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발전한 인공지능이 필요하다. 아무리 이들의 능력을 인공적으로 제한하고 통제한다고 해도 신의 씨앗에서 겨우 몇 걸음밖에 떨어져 있지 않을 것이다. 일단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술에도 단점은 있다. 효율이 낮다. 태양전지만 해도 에너지의 변환 효율이 20%에 달하는데, 식물의 광합성은 고작 4%대다. 다섯 배나 차이가 난다. 이런 이유로 국내에서는 연구를 중단한 기관도 여럿이다.하지만 대다수 연구자들이 식물 연구를 놓지 못하고 있는 건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왼쪽부터 최지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 임평옥 뉴바이올로지전공 교수,이강택 에너지시스템공학전공 교수.“미래 도시에서 생활하는 ... “대용량 배터리를 개발하거나 바이오폐기물을 연료로 재활용하는 것처럼 신개념 에너지 공급방법을 찾아 효율을 높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에너지 손실 없이 전기를 운반한다고 생각하면, 굉장히 유용하지 않겠나. 자기력이나 에너지를 저장하는 새로운 방법이 있다면 인류를 위해 정말 유용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양자물리학의 최전선 양자물질Part 1. 새로운 세계, 양자 물질의 서막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 ...
- Part 4. 보이지 않는 살인자, 라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악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바로 방사성 붕괴 때문이에요. 방사성 붕괴 과정에서 나온 에너지가 인체를 통과하며 피부나 장기 조직을 변형시키고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든요.자연에는 40여 종의 방사성 물질이 있어요. 그런데 왜 라돈이 특히 위험할까요? 그건 라돈이 기체이기 때문이에요.라돈은 기체라 ... ...
- Part 1. 여기는 대한민국 탐사광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만들어진 망간단괴와 망간각 같은 광물들이 많이 묻혀 있지요. 또 인간 활동에 중요한 에너지원인 석유나 석탄이 묻혀 있기도 해요.연구팀은 피지 바다 아래 심해 열수분출공에 주목했어요. 심해 열수분출공은 깊은 바다 속에서 금속이 녹아 있는 뜨거운 물이 분출되는 곳을 말해요.금속 성분들은 찬 ... ...
- [Career] 전극에 심은 나무, 수소에너지를 만들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있는 통로가 된다. 장 교수는 “팔면체 사이에 분자가 들어가게 되면 운동에 대한 활성화에너지가 작아져 외부전기장에 의해 쉽게 이동할 수 있다”며 “작은 전기장만 걸어줘도 금방 통로를 만들기 때문에 적은 전력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장 교수는 여전히 좀 더 적은 전력으로 뛰어난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