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d라이브러리
"
옆
"(으)로 총 2,76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초 달리는 로봇 휴보2 전격해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야구공 같은 작은 물건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게 됐다. 다만 아직 사람처럼 손가락을
옆
으로 벌리지는 못한다.손목의 움직임도 한결 자연스러워졌다. 3개의 모터를 달아 사람처럼 손목을 빙빙 돌릴 수 있다. 휴보1에는 2개의 모터가 들어 있었다. 휴보1의 특기는 태극권 시범이었지만, 휴보2는 ... ...
‘손발이 오그라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기다리던 나순진 양은 아까부터
옆
에서 재잘대는 연인 때문에 슬슬 짜증이 밀려오고 있다. “오빠~. 나아~. 어제 라면 먹고 자서 얼굴이 부었어~. 2개밖에 안 먹었는데.”“우리 애기 얼굴이 뭐가 붰다 그래~. 얼굴이 이렇게 쪼그만데, 눈코입이 다 있는 거 보면 신기하다니깐~.”“아이잉~. 몰라~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날이 되자 이 새로운 세계에서의 생활도 익숙해졌는지 아침 일찍 저절로 눈이 떠졌어.
옆
을보니 여우가 이불을 꼭 덮고 쿨쿨 자고 있더라구. 그래서 여우를 깨워서 오늘은 어디를 갈 것인지 물어 봤어. 여우는 잠이 덜 깼는지 하품을 하면서 대답했어.“오늘은 조금 더 먼 미래로 갈 거야. 1만 년쯤 ... ...
[뉴스 속 수학 읽기] 주차도 계산해서 한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않기 때문에 주차를 할 때 공식을 이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공식을 이해하면
옆
차를 건드리지 않고 주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라며 주차 공식의 효과를 강조했습니다 ... ...
Part 3. 멋쟁이 스키 친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사정이 다르다. 스키는 정면을 보며 타기 때문에 자세를 낮춰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지만
옆
으로 타는 스노보드는 한계가 있다. 또한 스키는 스노보드보다 앞뒤가 길고 폭이 좁아 마찰을 줄이기 쉽다. 스키 속도의 세계 기록은 2006년에 세워진 시속 251.4km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썰매 삼총사와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만들 수 있다.단순한 흥밋거리로만 생각했던 종이접기에 이런 능력이 숨어 있었다니!
옆
자리 친구의 자신만만한 표정이 이제 이해가 된다. 종이접기는 직접 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도형을 이해하는 데 아주 유용하다는 친구의 설명. 좋아, 이제 연필과 자는 안녕~. 우리도 함께 종이접기로 공부해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사람이나 로봇이 두 발로 달릴 경우는 측면으로 밀어내는 힘도 작용한다. 그때마다
옆
으로 충격이 오니 조금만 달리면 중심을 잃고 쓰러지는 것이다. 답은 다시 인간의 달리기 모습을 관찰해서 얻을 수 있었다. 두 발의 움직임에 맞춰 상반신을 좌우로 돌려가며 무게중심을 맞춰 주는 것이다.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멈추기도 했다. 갈릴레오의 마지막 미션은 목성 가까이서 돌고 있는 정규위성 아말테아
옆
을 지나가며 아말테아의 질량을 측정하는 일이 었다(갈릴레오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2003년 11월호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참조).목성 위성에 대한 탐사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 ...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키’가 사람 허리 높이를 넘는다. 머리부터 바닥까지 높이가 1m나 되기 때문이다.
옆
으로 지나가면 왠지 호랑이의 몸이 끝나지 않는 느낌이 든다. 머리부터 꼬리 시작 부분까지의 길이가 160cm이고, 거기에 또 야구방망이만 한 꼬리가 달려 있다. 꼬리는 길이가 88cm이고 둘레가 20cm다. 사육사가 가까이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얻었다.아르디는 키가 120cm로 직립을 할 수 있는 골반구조이지만 엄지발가락이 길고
옆
으로 뻗어 있어 침팬지처럼 능숙하게 나무줄기를 잡을 수 있었다. 아르디와 함께 발굴된 다양한 화석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여전히 나무가 울창한 숲에서 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르디의 발견으로 인류가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