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작
행동
실행
몸짓
액션
작용
d라이브러리
"
작동
"(으)로 총 2,671건 검색되었습니다.
3. 기네스 기록 도전하는 LHC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전력 소모도 없이 전류를 흘릴 수 있다. 이때 초전도자석은 1.9K(-271.25℃)라는 극저온에서
작동
하는데, 보통의 우주공간보다 온도가 낮아 LHC는 ‘우주에서 가장 추운 곳’으로 불리기도 한다.초전도현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초유체헬륨이 필요하다. 초유체헬륨은 매우 특이한 열전도성을 띠고 있어 ... ...
화성 북극에서 얼음 찾았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이런 일은 처음이라고 한다.나는 ‘바이킹의 후예’답게 땅에 닿기 직전 역추진 로켓을
작동
시키며 멋지게 착륙했다. 착륙 직후 주변에 먼지가 일어 한치 앞도 안 보였다. 먼지가 가라앉기를 15분 정도 기다렸다가 조심스럽게 태양전지판을 폈다. 따뜻한 햇볕을 쬐니 기운이 났다.주위를 둘러보니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수 있다. 지붕은 태양전지판으로 되어 있어 여기서만든 전기로 내부의 전기 장치를
작동
시키거나 배터리를 충전한다. 귀여운 연료전지차뿌요는 깨끗함과 안전함, 즐거움을 추구하는 소형 연료전지자동차다. 효율을 높이기 위해 차체를 작게 만들었고, 안전성을 위해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했다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가장 오른쪽에 거의 누운 자세로 앉는다.❽ 발사 6분 15초 전 : 발사 자동프로그램이
작동
을 시작한다. 발사 10초 전에는 엔진 터보 펌프가 가동된다.❾ 발사 0초 : 발사 5초 전 로켓 엔진이 최대의 힘을 내고 0초가 되는 순간 이륙한다. 드디어 두근두근 손에 땀을 쥐게 하는 발사 순간! 하지만 ... ...
생각대로 되는 모자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모자가 나온다. 타이완 차오퉁대 리웨이 코 박사팀은 생각만으로 텔레비전이나 에어컨을
작동
시킬 수 있는 모자를 개발해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가 발간하는 학술지인 ‘생물의공학회보’ 5월호에 발표했다.코 박사팀은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뇌-컴퓨터 접속’(BCI) 기술을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공략하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며 “뇌혈관을 만드는 단백질을 찾아 뇌혈관의
작동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뇌신경세포 운명은 혈관이 좌우김 교수는 뇌혈관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100년 전에 그려진 한국화 한 폭을 꺼내들었다. 그림은 숭례문의 옛 모습이었다. 성곽 한 ... ...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내년에 KVN이 가동하고 그 뒤 한일 우주전파관측망이 구경 2000km의 거대 망원경처럼
작동
하면 세계적 수준의 초정밀 관측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지구보다 큰 망원경 건설?우리나라는 한일우주전파관측망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한일 공동 상관기’를 개발하는 일을 맡고 있다. 천문연 상관기그룹 ... ...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나뉜다. 세포 수십조개로 이뤄진 사람은 200여 가지 세포가 있어 인체가 효율적으로
작동
할 수 있게 분업을 한다. 도시 인구가 많아질수록 직업 종류가 늘어나는 것과 같은 이치다.만일 사람이 생쥐만 했다면 만물의 영장이 될 수 있었을까. 저자에 따르면 그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생쥐같이 조그만 ... ...
다이아몬드 자태 빛나게 한 백금 세팅 기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보니 시계바늘이 투명한 수정 속에서 공간에 떠 있다. 그런데 장식용이 아니라 실제로
작동
하는 시계라고 한다. 어떻게 홀로 떨어져 있는 시침과 분침이 돌아갈 수 있을까. 정답은 이들이 각각 얇은 수정판에 고정돼 있다는 것. 결국 수정판 두개가 서로 다른 속도로 돌아가면서 시간을 가리키게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양자정보를 블랙박스에서 처리한 다음 새로운 형태의 양자정보로 바꿔 내보내는 원리로
작동
하기 때문이다.“블랙홀에서 양자정보가 보존될 것인가를 두고 영국의 스티븐 호킹이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존 프레스킬과 내기를 했다가 졌죠. 연구를 하다 호킹이 왜 졌는지 알아냈어요. 그가 경계조건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