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수와 기호를 이해하는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860억 개의 뉴런이 있지만, 꿀벌은 100만 개도 채 안 돼. 연구팀은 이렇게 인간보다 훨씬 작은 뇌를 가진 곤충이 수와 기호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어. 지금까진 영장류나 새들만 이 관계를 이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거든. 연구를 이끈 애드리언 다이어 부교수는 “곤충의 뇌를 ... ...
- [출동!기자단] 치약, 로션, 샴푸 ···앗! 여기에 미세플라스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덕분에 우리가 치아를 더 깨끗하게 닦을 수 있어요. 미세플라스틱이 칫솔이 닿지 않는 작은 틈까지 긁어내는 역할을 하거든요. 사실 생활 곳곳에서 미세플라스틱은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어요. 그러면 우리는 미세플라스틱을 단순히 ‘나쁜 것’으로만 볼 수 있을까요? 인간이 미세플라스틱을 어떻게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냉각시키면 물 분자들은 얼음 결정을 형성하고 소금 분자(NaCl)들은 얼음 결정들 사이 작은 틈으로 모인다. 김기태 극지연구소 실용화연구사업단 선임연구원은 “이 물질들은 고체가 아닌 용액 상태로 존재해 ‘준액체층’이라고 부르며, 이렇게 유기물 또는 무기물들이 얼음 결정 사이의 틈에 ... ...
- [포토뉴스] 양자 물질 들여다보니 프랙털이 숨어있었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그런데 연구진이 중간 크기의 도메인을 확대하자 다시 많은 수의 큰 도메인과 적은 수의 작은 도메인이 나타나며 프랙털 구조를 보였습니다.도메인의 프랙털 구조는 네오디뮴 니켈산화물이 자성을 띨 때만 유지되기 때문에, 물질의 성질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리카르도 코민 MIT 교수는 ... ...
- 신비한 양자컴퓨터, 영~롱한 샹들리에의 정체는?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작동시킨다는 점이 특징이야. 큐비트는 일반 컴퓨터에 비해 신호의 크기가 매우 작은데다 신호를 방해하는 잡음이 잘 발생하는데, 상온에서는 잡음이 커서 큐비트의 신호가 거의 보이지 않아. 잡음은 절대온도에 비례하는 특징이 있어서 잡음을 줄이려면 0K 근처에 큐비트를 놓아야 하지. 거대한 ... ...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것이 가장 작은 면적을 갖고, 7개부터는 벌집 모양으로 둥글게 뭉쳐 배치하는 게 가장 작은 면적을 갖습니다. 100개, 1000개로 늘어나도 이 답은 변하지 않죠. 그렇다면 3차원 구는 어떨까요? 3차원에서도 2차원과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까지는 소시지 모양으로 나열하는 것이 좋고, 특정 개수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아는 게임을 하나 꼽으라면 아마 ‘테트리스’가 아닐까요? 테트리스는 사각형 평면에 작은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다양한 모양의 블록을 쌓는 게임으로, 블록들이 모여 빈틈없는 가로줄을 만들면 그 줄이 사라지는 게임입니다. 위에서 하나씩 떨어지는 블록이 쌓여 평면에 가득차면 게임 오버 되므로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같이 수많은 부품이 연결된 복잡한 기계에 대해 공학적인 시험을 수행하다 보면 크고 작은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것 또한 연구개발의 과정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앞으로 계속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아닐까 생각한다. 조광래. 1988년 ... ...
- [서술형 완전정복] 이차함수의 최대 최소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그래프로 나타내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해봅시다. 이차함수에서 y가 가질 수 있는 가장 작은 값과 큰 값은 어떻게 구할까요? 이차함수 y=ax²+bx+c를 y=a(x-p)²+q의 꼴로 고쳐서 a의 부호에 따른 그래프의 모양과 함숫값의 범위를 이용해 이차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① a>0인 경우 ... ...
- [과학뉴스] 남극 공룡의 깃털은 방한용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등이었다. 날개 깃털에서는 현재 새의 날개에 달린 깃털처럼 딱딱한 깃대를 중심으로 작은 가지가 뻗어져 나온 구조가 확인됐다. 깃털에서는 흡광 색소인 멜라닌이 포함된 멜라닌소체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어두운 색소가 침착된 깃털은 위장용으로 쓰였을 뿐만 아니라 추운 극지방에서는 열을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