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건전지VS충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했더니 아버지께서 깜짝 놀라시며 충전기에는 충전지만 넣어야 한다고 하셨어요. 어떤
차이
가 있는 건가요?김시호(경남 거제초 4) 다 쓴 전지는 분리수거함으로!건전지를 그냥 쓰레기통에 버릴 경우, 전지 속 물질들이 쓰레기 매립지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고 이 물질들이 지하수로 흘러들어가 주변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말했다. VR 콘텐츠는 영화와는 다르게 실제 내가 움직인다고 느껴야 한다는 점에서
차이
가 있다. “최대한 뇌가 진짜라고 느껴야 어지럼증이 덜합니다. 프레임 수가 적어지거나 중간에 프레임 수가 바뀌면 멀미를 느끼기 때문에 재투영 기술로 120 프레임을 맞추려고 하는 거죠.”이 외에도 소니 HMD는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있다. 어떻게 시차적응을 빨리 할 수 있을지가 이번 올림픽에서 중요하다. 하루, 이틀
차이
가 경기에 크게 작용할 수 있다. 그래서 선수들은 출국 전부터 광선치료 등을 통해 수면시간을 조정하고 있다.브라질의 환경적 여건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지난 11월 브라질을 직접 방문했을 ... ...
[새 책] “너 내가 그럴 줄 알았다!” “REALLY?”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자라고 죽음에 이르는 일생을 비교•분석한다. 결론은? (스포 주의) 셋의 삶에는 큰
차이
가 없다. 숱한 위험이 이들의 주변을 스쳐갔지만, 별 탈 없이 수명을 누리다 세상을 떠난다.모든 위험은 가능성일 뿐이다. 삶의 불확실성이 어디에서 유래하는지 중요치 않다. 진정 중요한 질문은 우리가 삶에 ... ...
[과학뉴스] 피우는 비타민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제품에 대한 품질을 보장하지 않는다’고 명시돼 있습니다.액상과 증기는 하늘과 땅
차이
입니다. 전자담배를 예로 들어 볼까요. 2012년 국내 시판 중인 전자담배 증기의 유해성을 연구한 신호상 공주대 환경교육학과 교수는 “액상에 든 것보다 증기에서 최대 100배 더 많은 포름알데히드가 ... ...
[과학뉴스] 예쁜꼬마선충의 암수 다른 뇌구조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짝짓기 신호를 감지할 때 활성화됐다. 호버트 교수는 “암수의 성장 단계에서 뇌 발달
차이
가 생기는 것 같다”며 “어떤 기전으로 신경망의 연결이 달라지는지 추가로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의대 법의학과 교수는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이라도 HVR 검사를 해보면 결과가 크게
차이
가 나지 않는다”며 “법의학에서는 개인 식별보다는 같은 어머니로부터 유전자를 물려받았는지를 살펴보는 용도로 사용한다”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6.25 전쟁 전사자의 유해를 확인할 때 mtDNA를 분석하기도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게 좋겠다고 계산했다. 이 질문들에 대해 어떻게 대답하느냐에 따라 실습 점수는 큰
차이
가 날 수 있었다. 질문은 랜덤으로 튀어나왔고, 로봇은 무작위로 튀어나온 질문 하나를 출력했다.“윤정 님은 이 세상의 누구와도 저녁식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누구를 저녁식사에 초대하고 ... ...
PART 1. 캐릭터 만드는 4가지 비법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마친 캐릭터 배우는 대사를 읊으며 연기 연습을 합니다. 실제 동물을 촬영한 것과
차이
가 거의 없는 디지털 캐릭터의 경우 표정 연기도 아주 섬세하지요. 영화 ‘정글북’에 나오는 여러 동물 캐릭터가 그렇습니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캐릭터가 연기 수업이라도 받는 것인지, 수학동아가 ... ...
[과학뉴스] 페이스북 읽는 새 인공지능 ‘딥텍스트’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나 좀 태워줘(I need a ride)’와 ‘나는 당나귀 타는 걸 좋아해(I like to ride donkeys)’의
차이
를 구분해 ‘나 좀 태워줘’라는 메시지에 ‘탈 것 요청’이라는 꼬리표를 달았다.개발팀은 딥텍스트를 통해 사용자들이 페이스북에서 더 나은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