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정사각형은 한 내각의
크기
가 90°로 4개가 한 점에 모일 때, 정육각형은 한 내각의
크기
가 120°로 한 점에 3개가 모일 때 평면이 된다. 그러나 이외의 정다각형은 360°를 만들 수 없어 평면을 덮을 수 없다. 즉 쪽매 맞춤이 가능한 정다각형은 3개뿐이다. 물론 두 개 이상이 다각형을 이어 붙여 360°를 ...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위해 미니 돼지에 주목했어요. 체중이 100~120kg 정도 되는 미니 돼지는 사람과 장기
크기
가 비슷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처음엔 돼지의 장기를 이식받은 환자가 하루를 넘기지 못하고 죽는 등 수술 결과가 좋지 않았어요. 이때문에 과학자들은 그 이유를 찾는 연구를 시작했고, 1993년에서야 호주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우선, 추락하는 순간에 맞춰 살짝 뛰어오르려는 생각은 버리는 게 좋아요. 보통
크기
의 엘리베이터가 10층 높이에서 자유낙하 할 경우(공기 저항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바닥에 부딪히기 직전 속도는 시속 87km 정도예요. 살짝 뛰어오른다 해도 천장에 머리를 세게 부딪쳐 오히려 크게 다칠 수 있지요.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발견됐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두 가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먼저 한국에서
크기
가 다양한 백악기 공룡들이 많이 살고 있었고, 그만큼 생태계의 다양성이 매우 높았음을 시사한다. 두 번째는 한국이 발자국 화석이 보존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갖췄다는 점이다. 한국에서 공룡 골격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표면에 착륙시켰다. 옛 소련이 1973년 ‘루노호트 2’ 로버를 달에 보낸 지 40년 만이었다.
크기
가 1.5m, 총질량이 140kg가량인 옥토끼는 2015년 10월까지 달 표면의 물질 구성과 지질을 조사한 데이터를 지구로 보내왔다. 역대 로버 중 가장 오랜 기간 활동한 기록을 세웠다. ● 2018. 09. 18 달 관광을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한 교수는 “(사람이 타는) 자동차를 타거나 내리고 운전할 수 있어야 하므로 사람
크기
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한 교수는 2018년 2월 스키 타는 로봇 다이애나를 완성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깃발과 깃발 사이를 뚫고 경로를 따라 빠르게 내려오는 알파인 스키대회에도 나갔다. 다이애나는 키 ... ...
[과학뉴스] 블루투스 전자알약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전달해요. 이 전자알약은 약물이 담긴 장치를 캡슐로 감싼 이중 구조예요. 약 2.5cm
크기
의 캡슐이 위장에 도착하면 캡슐은 분해돼요. 그럼 속에 들어 있던 장치가 캡슐을 벗어나며 양팔을 펼쳐 다른 음식물과 함께 소장으로 내려가지 않지요. 장치가 몸 밖으로 나올 때까지 약 30여 일이 걸려요 ... ...
[헷갈린 과학] 흰개미가 개미가 아니라니! 흰개미 vs 개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바퀴벌레와 사촌이랍니다. 남극을 제외한 대부분의 토지에서 발견되는 흰개미는
크기
가 보통 4~15mm이고 흰색을 띠어요. 더듬이는 두 개가 곧게 뻗어 있지요. 주로 땅 밑에 살며 죽은 나무를 갉아먹어 자연의 중요한 분해자 역할을 하는데, 때로는 오래된 문화재의 기둥을 갉아먹는 골칫거리로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첫째는 달의 토양을 소결시킨다. 나노미터(nm·1nm는 10억분의 1m)
크기
의 달 토양 입자에 강한 에너지를 가하면 열적 활성화가 일어나며 달 토양 입자가 덩어리로 굳는다. 달 먼지가 날리지 않는 발사대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다. 둘째는 달 토양을 소결시키는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3470b’와 ‘GJ 436b’가 거의 유일하지요. 천문학자들은 ‘중간
크기
의 행성들은 증발되어
크기
가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답니다. 그런데 최근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빈센트 버리어 박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측정한 GJ 3470b 행성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실제로 이 행성이 빠른 속도로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