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대
확장
증가
증진
증설
연장
강화
d라이브러리
"
확대
"(으)로 총 2,047건 검색되었습니다.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망원경이 오히려 잘 팔리기까지 한다. 초보자는 천체망원경을, 대상물체를 무조건
확대
해서 보는 것이라고 알고 있고 따라서 배율이 높은 망원경이 가장 좋은 망원경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것이다. 과연 배율이란 어떻게 결정되며, 그 효과는 무엇인가?배율(magnification : M)이라고 하는 것은 망원경을 ... ...
2. 차세대 디스크 장치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이미 XT와 286급 PC는 단종된 상태다. 물론 여기에는 기술발전 수요
확대
가격경쟁 등으로 인한 가격인하가 크게 한몫 거들었다.PC가 고성능화 되어가면서 나타나는 현상 중에서 두드러진 것은 대용량 고속화를 실현시키는 새로운 기억매체들의 출현이다. 불과 몇년전만 해도 ... ...
AIDS 백신과 치료제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한다. 그러나 산에 약해 경구투여시 버퍼를 같이 사용해야 된다는 점이 ddI의 보급
확대
를 가로막고 있다.ddl는 1991년 10월 AZT에 이어 두번째로 HIV치료제로 허가된 역전사효소 억제제다. 현재는 어떤 이유로 AZT를 사용할 수 없거나 AZT의 부작용 때문에 임상적으로나 면역학적으로 병세가 악화된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어렵다. 또한 혼합액제트가 노즐 내벽을 마모시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즐의 직경이
확대
되기 때문에 절단폭이 변하게 된다. 종래에는 1시간 사용시 노즐의 내경이 0.7㎜나 넓어져 혼합액 제트에 의한 절단작업에 큰 제한을 주었는데 최근 노즐의 재료로 특수소결금속을 사용하고 물의 흐름을 ... ...
35㎜ 콤팩트 카메라시대 열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많은 종류의 모델이 나와 있지는 않지만 35~1백 80㎜와 같이 다섯 배
확대
가 되는 카메라도 있다.카메라의 다양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다른 기기도 마찬가지지만 기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사용법을 제대로 숙달하는 것 뿐이다. 그래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 ...
생산·연구현장을 중시하는 정책을 펴야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정책이 펼쳐져야겠다.과학기술 담당 부처의 위상강화, 기술개발투자의 획기적인
확대
등은 물론 매우 중요하고 그렇게 돼야 한다. 이러한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았을 경우 부처의 위상강화, 투자의 증대도 의도한 바 효과를 거두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초점거리는 소문자 f를 사용해 표시하는 것이 보통이다.그런데 자세히 보면 대물렌즈는
확대
경처럼 1장의 볼록렌즈가 아니고 볼록렌즈와 오목렌즈가 2, 3장 조를 짜서 셀에 들어 있다. 물론 전체적으로는 1장의 볼록렌즈와 동일하게 빛을 모은다. 일부러 2, 3장의 렌즈를 사용하고 있는 것은 렌즈의 ... ...
1 586 칩 펜티엄 출현예고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각 PC업체들은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개발시에 '네트워크 기능의
확대
'라는 측면을 간과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세계적인 PC 전문가들은 사용자 측면에서 PC를 하나의 통신망으로 묶으려는 요구가 점점 더 강력하게 대두될 것이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분야는 PC시장에서 가장 ... ...
카메라 렌즈 통해 조물주의 오묘한 섭리 느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흔히 볼 수 있는 꽃들도 카메라 렌즈를 통해 몇배
확대
해서 보면 인간의 솜씨로는 빚어낼 수 없는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꽃사진회 회원들이 수많은 꽃 가운데서도 특히 관심을 두고 카메라에 담는 꽃은 우리나라의 야생화다. 들에 절로 피는 야생화야말로 ... ...
5 문명과 흙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10년에 2백ha였던 밀경작지가 1919년에는 5백ha로
확대
됐으며, 전쟁이 끝난 후에도 경작지의
확대
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광범위한 지역을 경작하기 위해서 대평원지역에는 트렉터 컴바인 등의 농기계가 대량으로 도입됐으며, 많은 수의 가축이 방목의 형태로 사육되고 있었다. 이러한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