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사일
상례
뉴스
"
보통일
"(으)로 총 2,70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 정밀 수술로봇 '닥터 허준' 전임상 최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0.24
24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시신 대상 마지막 전임상 24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서 신동아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가 원격 수술 로봇 '닥터 허준'으로 카데바에 카테터 시술을 시험하고 있다. - 사진 제공 KIST “아래에 디스크, 위에 신경이 보이네요. 주변을 둘러싼 지방 조직도 보 ... ...
[2018국감]0.5% 극소수가 R&D과제 25% 평가 '좌지우지'
동아사이언스
l
2018.10.23
0.5% 극소수 전문가가 연구과제의 24.4% 평가 전문 분야 알 수 없는 평가위원 후보도 5184명 재단 “학연 빼면 남는 전문가 거의 없어” “연구과제 평가위원 참여 독려할 필요도”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연구재단이 관리하는 연구과제에 대한 평가가 평가위원의 전문 분야와 관계없이 극소수에 ... ...
“훌륭한 과학자는 유럽 출신 남성? 이젠 옛날 얘기”
동아사이언스
l
2018.10.22
녹색형광물질 연구로 2008년 노벨화학상 수상한 마틴 챌피 美 과학한림원 인권위원회 위원장 “국경 없는 과학 위해선 공유의 가치 실현해야” 2008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마틴 챌피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2018 한국과학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22일 열린 ‘노벨상 수상자와의 대담’에 참석하 ... ...
랜선라이프 ‘과학 크리에이터’가 사는 법
과학동아
l
2018.10.20
과학동아 2018년 5월호 기사 ‘아이유는 왜 속삭였을까… ASMR 효과,직접 실험해 보니’가 긱블 ‘감독님’의 손으로 재탄생했습니다. 유튜브 크리에이터(창작자) 구독자 100만 시대, ‘과학’이라는 비인기 주제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있다. 남다른 기획력과 독특한 표현 방 ... ...
차세대소형위성1호·천리안위성2A호 발사장 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8
차세대소형위성 1호 11월 20일, 천리안 2A호 12월 5일 발사 내년부터 다양한 한반도 기상정보와 우주 관측 정보를 제공 차세대소형위성 1호. KAIST 제공 별 탄생의 신비를 밝히고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국산 부품 성능시험을 담당할 소형 과학위성이 다음 달 우주로 향한다. 애초 계획보다 2개월 늦은 ... ...
[이강운의 곤충記]생태계 망나니 '붉은불개미'를 위한 변명
2018.10.17
작년 추석 이후 며칠 전까지 2년 여 동안 온 나라를 들썩이며 많은 사람들의 신경을 건드리는 주인공은 붉은불개미(Red Imported Fire Ant)였다. 하찮은 벌레라고 가볍게 여겼던 곤충 한 종이 전 국민을 이렇게 하나의 주제로 몰입시킬 수 있다니 위력이 대단하다. 하지만 제한된 정보만을 근거로 무시무시 ... ...
허블우주망원경, 운영 중단…NASA "제어장치 결함 예방조치"
동아사이언스
l
2018.10.09
허블우주망원경 -사진제공 NASA 인공위성처럼 약 540km 상공에서 지구를 돌면서 우주를 촬영하는 대표적인 우주망원경인 허블우주망원경이 최근 기기 일부의 결함으로 일시적으로 운영이 중단된 상태라고 NASA가 9일 밝혔다. NASA에 따르면, 허블우주망원경은 운영에 필요한 자세제어장치(자이로) 3기 ... ...
알고보면 기린도 무섭다
팝뉴스
l
2018.10.05
팝뉴스 제공 미국 네티즌이 한 사파리 동물원에서 촬영했다며 인터넷에 공개한 이미지다. 기린이 차 안으로 머리를 집어넣은 순간을 담았다. 사진을 본 많은 네티즌들은 “기린도 무서운 야생 동물”이라고 평가한다. 보통 기린은 순둥이 이미지로 통한다. 그런데 사진을 보면 기린은 무섭다. 기 ... ...
박용근 교수 세계적 학술지에 "홀로그래피 현미경 활용방법" 리뷰 논문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 국내 과학자가 해외 유명 학술지 요청에 따라 물체를 입체로 보여주는 신개념 홀로그래피 현미경 기술의 최신 현황과 활용 방법을 소개하는 리뷰 논문을 발표해 화제가 되고 있다. KAIST는 3일 박용근 물리학과 교수(38)가 국제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 10월호에 이런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이병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레이저 물리학 분야에서 혁신적 발명으로 평가받는 두 분야에 주어졌다. '광학집게(광 핀셋)'와 이를 생물학 연구에 이용할 수 있게 한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박사(96)와 에너지가 크고 매우 짧은 광 펄스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한 제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