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복
2배
두배크기
배가
뉴스
"
이중
"(으)로 총 1,552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볼라 임상실험 서두른다
과학동아
l
2015.02.16
두 집단으로 나눠 백신 사용 집단의 감염률이 떨어지면 백신 사용을 점차 늘린다.
이중
맹검법에 비해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윤리적으로는 더 좋다. 기니는 천연두를 박멸하는 데 사용됐던 ‘고리형 접종’을 시행한다. 고리형 접종은 환자와 접촉이 많은 주변 사람들(고리)부터 백신 효과를 ... ...
[Health&Beauty]약해진 봄 피부에 부드러운 손길을
동아일보
l
2015.02.11
노폐물을 깨끗이 없앤다. 클렌징크림으로 얼굴을 한 번 닦아낸 뒤 클렌징폼을 사용하는
이중
세안을 해야 한다. 세안할 땐 피부를 너무 세게 문지르지 말고 미지근한 물에 여러 번 헹군다. 유화정 고려대 안산병원 피부과 교수는 “각질 등을 제거해 피부 건조가 심한 상황에서 가려워 긁으면 ... ...
액정 모니터는 네모에 딱딱하다고?
2015.01.29
연구팀은 머리카락 굵기의 모세관으로 제작한 유체소자를 이용해 기름과 물, 액정의
이중
구조를 만들고 자외선을 쏘여 캡슐을 만들었다. 가운데 액정을 물로 둘러싼 구조다. 이렇게 만들어진 캡슐은 액체처럼 유연하면서도 공기 중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했다. 이를 이용하면 TV는 물론 3D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논문이 실렸다. 자세한 내용은 이 글의 수준을 벗어나니 결과만 요약해보자.
이중
슬릿 실험에서 입자가 어느 구멍을 지났는지 알려면, 앞서 이야기했듯이 구멍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파장의 빛을 사용해야 한다. 그러면 충돌하는 빛(광자)의 운동량이 충분히 커서 입자를 교란하게 되고, 그 결과로 ... ...
요즘 드라마 ‘남주’는 왜 다 ‘다중인격’일까
2015.01.23
정신의학적으로는 이런 다중인격을 ‘해리성(解離性) 정체 장애’라고 부른다. ●
이중
인격부터 ‘100중 인격’까지 가능 극 중 차도현이 7중 인격을 갖게 된 이유는 어린 시절 겪은 괴로운 기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과거의 기억에 짓눌리지 않기 위해 자신의 기억을 버리고 타인의 정체성을 ... ...
3D프린터로 만든 재현한 클래식 ‘스포츠카’
2015.01.13
제작기간을 줄일 수 있다. 실제로 연구팀이 자동차를 만드는데 걸린 시간은 단 6주.
이중
차의 소재를 프린트하는 시간은 24시간 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한 로니 러브 그룹리더는 “다음에는 쉘비코브라의 바퀴를 3D프린터로 제작할 계획”이라며 “이 프로젝트를 통해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거쳐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의 전사가 일어나고 전사체(RNA단일가닥)나 역전사된 DNA
이중
가닥이 신호로 작용해 B세포를 성숙시켜 항체를 만들게 한다는 것. 이제는 고전이 된 리처드 도킨슨의 ‘이기적 유전자’는 개체가 아니라 유전자를 생명의 단위로 설정함으로써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의 ... ...
과학자로 성공하려면 필요한 것은?
2015.01.11
개미’가 된 것이다. 한편 그는 다른 생생한 연구 현장이 궁금하면 제임스 왓슨의 ‘
이중
나선’을 보라며 또 다른 책을 권하기도 한다. 이렇게 현장에서 결과를 내고 사회적인 합의를 얻어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윌슨 교수는 “결과는 빨리 올 때도 있지만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야 올 ... ...
슈뢰딩거 고양이는 누가 죽였나?
2015.01.11
대답은 간단하다. 물론! 단, 풀러렌의 실험에서 중요한 것이 하나 있다. 이 분자가
이중
슬릿을 지나 스크린에 도달할 때까지 절대로 관측을 당하지 말아야 한다. 여기서 관측이란 무엇일까? 내가 안 보면 되는 건가? 그렇지 않다. 분자가 날아가는 중에 공기분자와 부딪히면 적어도 부딪힌 ... ...
DNA 도움 없이 단백질이 직접 아미노산 만들어
2015.01.04
알려져 있다. 이는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센트럴 도그마)’로 알려진 개념으로 DNA의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낸 프란시스 크릭이 1958년 제시한 뒤 오늘날까지 생물학 교과서에서 핵심원리로 다뤄지고 있다. 그런데 최근 미국 연구진이 중심원리를 뒤흔드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피터 쉔 미국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