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7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만 만나면 약해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해결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7
표면에는 수산화납으로 이뤄진 얇은 코팅막이 함께 형성된다. 이번 연구 논문의 제1
저자
인 아타누 자나 연구원은 “각 물질을 처리한 유리병을 10일 정도 두면 자연스럽게 수산화납 보호막을 가진 페로브스카이트가 합성된다”며 “수산화납은 안정적 구조로 인해 물이 침투하지 못한다”고 ... ...
엉성한 문법, 뻔뻔한 판촉...‘이런 게 가짜 학술단체’
동아사이언스
l
2018.09.11
돈을 버는 게 목적이므로 엄격한 동료평가(peer review) 과정이 빠져 있다. 두 번째는 예비
저자
나 참여자에게 스팸메일을 보내는 등 뻔뻔스러운 판촉에 치중한다. 문법이나 철자가 틀린 엉성한 판촉물을 배포하고 학회의 권위에 대해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는 곳도 가짜 학술단체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12만년 전 피를 섞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8
인류 종 간에 교배 가설에 대한 실제 증거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논문의 제 1
저자
인 비비안 슬론 막스플랑크진화인류연구소 진화유전학과 연구원은 “자녀는 직계부모로부터 엄마와 아빠로부터 유전자의 절반씩을 물려 받는다”며 “두 종의 유전자가 약 40%씩 나온 것을 볼 때 직계 ... ...
[표지로 읽는 과학] 빛바랜 녹색혁명 ‘비료의 역설’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02
만드는 DELLA 유전자의 효과는 그대로 유지돼 비바람에 쉽게 휩쓸리지 않았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리샨 CAS 연구원은 “비료를 덜 사용하면서 생산량을 높이는 것은 환경 파괴를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 ...
아토피 앓는 쥐에게 발라줬더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8.31
것으로 알려졌다. 가톨릭대 약학과의 양갑식 연구교수와 이혜은 연구교수가 공동 제1
저자
로 참여했다. 박테리아에서 추출하는 X형 DNA는 특정 염기서열을 가진 DNA 단백질이 X자 형태로 그물처럼 엮여 있다. 면역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기능이 있어 다양한 면역치료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양 ... ...
과기계 또 인사 잡음…백경희 과기자문위 위원 돌연 사퇴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자진 철회했다. 당시 백 교수는 “학생들의 실험 과정에서 오류가 있었다”며 “교신
저자
로서 책임을 진다”며 해명한 바 있다. 이번 논란을 계기로 과학계 기관장급 인사 임명 과정에 대해 정부의 검증이 부실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또 다시 제기되고 있다. 과기계 인사 풀이 좁다 보니 ... ...
"목성은 수백만년 합체와 축적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커지려면 주변 물질을 끌어당길 만큼의 질량을 가지고 있어야 했다. 이 연구 논문의 제1
저자
인 이안 알베르트 베른대 물리학연구소 연구원은 "웅덩이를 행성배아로 가정하면 목성과 같은 거대행성으로 성장하기 위한 최소 질량은 지구 질량의 20배 안팎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 ...
뇌에서 발견한 인간 진화 흔적 '장미열매 신경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드물게 존재했으며, 쥐와 같은 설치류의 뇌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논문 제 1
저자
인 에스제터 볼도그 세게드대 해부학과 연구원은 “쥐 등은 초기 포유류와 가까운 야행성 설치류다”며 “설치류에는 없는 신경세포가 인간에서 확인되면서 뇌진화과정 중 어떤 기능을 새롭게 갖게 됐는지 ... ...
온실가스 늘면 곡물 영양가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8
4%이상 떨어져 빈혈환자가 20%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논문 제 1
저자
인 하버드대 보건대학원 환경정신건강학과 매튜 스미스 연구원은 “CO2농도로 인한 곡물의 영양분 감소로, 이를 섭취하는 임신기 여성과 아이들에서 결핍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며 “국가별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 ...
조류 인플루엔자 위험성, 30분 만에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2
가위에서만 빛을 냈다. 병원성을 판별하는 데에 30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공동교신
저자
인 함승주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는 “기존에 주목하지 않던 바이러스 침투 과정에 주목해서 낸 새로운 성과”라며 “현장에서 신속하게 AI 바이러스를 감별하고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