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1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원주민, 1400년 전부터 '커피' 수입해 마셔
2015.09.08
미국 뉴멕시코를 비롯해 콜로라도, 애리조나와 멕시코 치하우하우에 이르는 18개
지점
에서 발굴한 177개 토기를 모아 토기에 남아있는 성분을 분석했다. 원주민이 사용했던 토기의 모습. - PNAS 제공 질량분석기와 크로마토그래피법을 활용해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카페인과 테오브로민 ... ...
맹점의 생리학
2015.09.01
연구자들은 먼저 참가자 10명 각각의 맹점 크기를 측정했다. 즉 한쪽 뜬 눈을 특정
지점
을 응시하게 한 뒤 시야측정을 했다. 즉 시야에서 지름 0.35도인 흰 점이 깜빡거리게 하면서(모니터 배경은 회색) 그 지각여부(맹점 안에서 나타나면 모른다)에 따라 맹점의 위치와 크기를 정했다. 그 뒤 20일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당시 분출된 용암이 2km 높이로 쌓여있다. 재밌는 것은 행성에서 충돌구와 정확히 반대편
지점
에는 언덕 형태의 튀어나온 지형이 있다는 사실. 마치 받은 충격이 반대편으로 표출된 것처럼 말이다. 일부 과학자들은 이 충돌이 수성의 궤도를 찌그러뜨릴 정도로 컸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 ...
이런 CCTV 보셨나요?
2015.08.14
함께 이 장면이 바로 팝업창으로 떴다. 어린이집 앞 공터에 설치된 CCTV가 비명이 나는
지점
을 포착해 영상을 찍은 것이다. 화면에는 곧이어 여성의 뒤를 따라오던 남성이 거칠게 소매를 잡아끄는 모습이 잡혔다. ● 소리 센서 2개가 비명, 폭발음 등 5종 인식 아이브스테크놀러지가 개발한 ... ...
오늘 밤(13일 새벽) 하늘에서 ‘별비’ 쏟아진다
2015.08.12
쏟아지는 ’유성우’ 현상이 나타난다고 10일 밝혔다. 보통 유성우는 떨어지기 시작하는
지점
부근에 있는 별자리를 따서 이름을 짓는데 이번 유성우는 페르세우스자리 인근에 복사점이 있어서 페르세우스 유성우라고 부른다. 특히 13~14일은 달이 거의 안 보이는 그믐 때여서 날씨만 맑으면 1시간 ... ...
얼음이 만들어지는 시간 = 백만분의 1초!
2015.08.10
서로 뭉쳐 작은 방울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방울의 크기가 커져 ‘임계핵’이라 부르는
지점
에 도달하면 자발적으로 얼음결정이 형성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그 과정을 명확히 규명한 것은 연구팀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연산장치(CPU)’ 2100만 개를 합쳐 놓은 고성능 슈퍼컴퓨터를 ... ...
네팔 대지진, 실시간 데이터로 분석해보니 ‘새로운 결과’
2015.08.09
네팔 대지진이 일어날 당시 단층지역 위에 설치된 GPS 분석 자료. 화살표는 GPS가 설치된
지점
의 땅이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움직였는지를 보여 준다. 길이가 길수록 많이 움직인 것이다. - 출처 : 캘리포니아공대 분석 결과에 따르면 네팔 대지진 당시 인도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미끄러져 ... ...
달 뒷면과 지구, 첫 동시 촬영
동아일보
l
2015.08.07
더 많다. 5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올해 2월 발사돼 지구로부터 약 160만 km
지점
에 자리 잡은 이 위성은 지난달 16일 지구(큰 원형)를 배경으로 달 뒷면 사진을 촬영해 지구로 보냈다. 달 뒷면과 지구를 한 번에 찍은 사진은 이번에 처음 선보였다. 미국항공우주국·미국해양대기청 제공 [화제의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
동아사이언스
l
2015.07.29
수비에서도 다이빙 캐치를 하며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는 수비수보다 공이 떨어지는
지점
을 가장 효율적으로 예측해 안정적으로 공을 처리하는 선수를 기용할 수 있다. 가장 발이 빠른 주자를 선택해 대주자로 내보내 승부를 뒤집을 수도 있다. 지금껏 야구 해설자들이 감으로 이야기하던 ... ...
파도따라 밀려온 ‘독한 놈들’ 일단 피하는 게 상책
2015.07.11
수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5월 14일~6월 2일 국립수산과학원이 황해와 동중국해 44개
지점
을 조사한 결과 노무라입깃 해파리가 작년보다 많이 발견됐다. 작은부레관 해파리나 입방 해파리도 해수욕장에 자주 출몰한다. 이 두 종은 독성 해파리 중에서도 강력한 독성을 지녔다. 작은부레관 해파리는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