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스페셜
"
발견
"(으)로 총 2,84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민항체조사는 방역정책 참고용…집단면역 근거 안 돼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발표한 데 이어 9월 14일 국민 1440명을 대상으로 2차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에 항체가
발견
된 사람은 단 1명(0.07%)으로 조사됐다. 국민을 대상으로 한 항체가 조사는 어느 정도 면역이 형성했는지 가늠해볼 수 있는 척도로 사용된다. ○항체 형성이 의미하는 것 전문가들은 국민항체조사와 ... ...
NASA, 코로나19가 바꾼 지구촌 지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통계와 함께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자이칙 교수는 “날씨와 코로나19 사이 연관성을
발견
하면 다시 발생할 두 번째 파도도 미리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프리미엄 리포트]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
2020.09.12
작은 균열이 확인됐고, 극지연구소는 2014년 난센 빙붕에서 30km에 걸친 거대한 균열을
발견
했다. 균열 사이로는 빙하가 녹은 물(용융수)이 바다로 계속 빠져나가고 있었다. 빙붕이 곧 붕괴할 것이라는 증거였다. 하지만 붕괴 시점은 정확히 알 수 없었다. 2016년 4월 난센 빙붕의 붕괴 과정은 결국 ... ...
올해 잦은 대형 태풍, 태평양 수온 상승이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현상이 나타나는 해역의 수심을 표시했다. 붉게 표시될수록 수심 깊은 곳까지 고수온이
발견
된다는 뜻으로 이 지역은 태풍 발생이나 강화 가능성이 높다. 해양과기원 연구팀이 조사한 해역은 검은색 네모로 표시된 지역으로 이곳을 하구핏과 장미, 마이삭이 지나갔다. 미국해군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 ...
러시아 포함 전세계 과학자 27명 "러시아 백신 불완전하고 비현실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에 발표했다. 발표내용에 따르면 항체 및 중화항체 형성이 확인됐고 심각한 독성은
발견
되지 않았다. 하지만 임상 참여 인원이 76명에 불과하고 대조군을 이용한 시험이 이뤄지지 않았다. 서한은 임상시험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제기했다. 임상시험에 참가한 피실험자가 각기 다른 시점에 ... ...
고양이도 코로나19 조심해야…감염률 15% 달해
연합뉴스
l
2020.09.11
바이러스에 대한 인간과 고양이의 반응이 유사하기 때문에 SARS-CoV-2 중화항체가
발견
된 고양이를 연구하면 바이러스에 대한 인간의 면역 반응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도 전했다. ... ...
"달 토양샘플 사겠다" NASA 속내는 '우주자원 소유권' 선례
연합뉴스
l
2020.09.11
샘플 매입 계획 발표 관련 블로그에서 "우리는 인류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새로운 탐사와
발견
의 시대를 촉진하기 위해 정책을 실행에 옮기고 있다"고도 했다. NASA 국제홍보 담당 책임자인 마이크 골드는 로이터 통신과의 회견에서 달에 첫발을 딛은 닐 암스트롱의 말을 인용해 "이는 우주 자원을 ... ...
수도권 2.5단계 종료냐 재연장이냐…정부, 감염지속에 막판 고심
연합뉴스
l
2020.09.11
인한 중소규모 집단감염을 꼽는다. 실제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새로운 집단감염은 계속
발견
되고 있다. 전날에는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에서만 총 17명이 확진되는 새로운 집단발병 사례가 확인됐다. 또 서울 종로구청 소속 공원녹지관리업무 기간제 근로자 중에서는 확진자가 8명이 ... ...
모성애·부성애 유발 단백질
발견
한 생명과학자 실리콘밸리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트레이시 슬랫처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페르미 버블(Fermi Bubble)’의
발견
으로 이끈 암흑물질 모델을 만들어 단독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페르미 버블은 우리 은하 중심에 위치한, 길이가 5만 광년에 이르는 거대한 구조로 X선과 감마선을 방출하고 있으며 천체물리학자들에게는 그 ... ...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다시 내려앉는 돌조각이 있는 반면 베누의 중력을 벗어나 바깥으로 튀어나가는 돌조각도
발견
됐다. 대니얼 시어러스 미국 콜로라도대 교수 연구팀은 베누와 태양의 복사열을 받게 되면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중력을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돌조각 자체는 베누의 궤적 자체에는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