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나"(으)로 총 14,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벌레집을 아세요? 나무의 벌레집은 아픔의 상징이래요기사 l20140313
- 난 봄에 피는 철쭉 꽃을 참 좋아해요. 쪽 동백나무의 꽃도 좋아하고요. 어느날, 철쭉 꽃을 보다가 빨갛고 하얀 꽃 같이 생긴 이상한 것들이 달린것을 보았어요.엄마에게 달려가서 이게 뭐냐고 했더니, '벌 ... 여기저기 벌레집이 있으면, 어떤 식물이든지 건드리지 말고 잘 보살펴주세요.몸이 좋지 않다고 하잖아요. 올해는 또 어떤 벌레집을 만 ...
- 나무를 무엇으로 구별하세요? 나무 껍질이 서로 다르게 생긴것을 아시나요?기사 l20140313
- 가족끼리 청계산, 관악산을 오르고 집 주위를 산책하면서 만나는 나무들은 나에게 꽃과 잎사귀만이 보였어요. 어느날 엄마가 내게 꽃도 잎사귀도 없는 나무를 보여주시면서 "이게 무슨 나무인지 아니?"하고 ... 대나무, 화살나무, 등나무 친구들도 밖으로 ...
- 동아일보 어린이 섹션신문인 '학동이'에 기자단 기사가 올라가기 시작했습니다. 그 첫 번째포스팅 l20140313
- 기자의 '맹추위를 잊게 한 유리의 열기!'와 겨울방학에 멋지게 스키를 배우고 온 임진서 기자의 '나를 알고 스키를 알면, 더욱 신나는 겨울방학', 창의로봇 경진대회에서 영예의 대상을 수상한 이충헌 기자의 '창의로봇 과학경진대회의 뜨거운 열기 속으로!'가 선정되었습니다. 동아일보 어린이섹션신문 학동이는 매월 2회 발행하며 동아일보 구 ...
- 나는 오늘나의한계를 뛰어넘었다. 그것은 껌을 씹어서 풍선껌을 불었다. 그것도아주~크게불었다포스팅 l20140311
- 나는 오늘나의한계를 뛰어넘었다. 그것은 껌을 씹어서 풍선껌을 불었다. 그것도아주~크게불었다. 내얼굴만큼^^☆★ 나도신기했다.내가 이리 크게 불은적은없다. 가끔터지기도했다. ...
- 거중기야 넌 누구니? 거중기와 도르래의 과학원리기사 l20140309
- 여러분은 거중기에 대해서 아시나요? 거중기는 도르래를 이용하여 수백 킬로그램이나 되는 물체를 가볍게 한 사람만 있어도 거뜬하게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도르래에 대해 먼저 설명하겠습니다. 도르래는 ... 불 수 없었을 것입니다. 백성들을 사랑하고 정치를 열심히 하신 정조임금님께 감사드리며, 저도 정약용선생님처럼 열심히 노력해서 ...
- 글램핑기사 l20140309
- 나는 3월 6일부터 3월 7일까지 1박 2일로 글램핑을 갔다. 경기도 포천시 일동면에 잇는 메가 오토 글램핑을 갔다. 엄마,아빠 ,동생,나 이렇게 메가오토 글램핑을 갔다. 메가오토 글램핑은 씻거나 설거지를 하러 갈때에는 밖으로 나가서 해야 한다. 엄마 ... 한 별자리를 알아보았는데 별자리가 생각난걸 찾아보 ...
- 뿌리와 새싹을 아시나요? 제인 구달 박사님 재단을 소개합니다기사 l20140307
- 분야의 터전인 지구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동물을 사랑한다는 것은 참 힘든 일입니다. 의견을 나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래서 더 동물에게 관심을 갖고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친구처럼 함께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죠.우리가 서로 관심을 갖고 알려고 노력하면 사랑하게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 말 ...
- 미세먼지 이렇게라도 해야지!! 미세먼지 나한테서 없어져 줘~기사 l20140306
-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창문을 닫아야 한다. 에어필터나 공기청정기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실내에서 흡연을 하거나 촛불을 켜는 것은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것이므로 피해야 합니다. 여러분!! 이 기사 읽어 보시고 미세 먼지 예방하세요!! 아프지 마시구요 ... ...
- 엄마가 동생을 위해 지접 만든 할아버지 인형이여요. 발도르프에서는 인형에 눈.코.입을 만들포스팅 l20140306
- 엄마가 동생을 위해 지접 만든 할아버지 인형이여요. 발도르프에서는 인형에 눈.코.입을 만들지 않아서 스스로의 기분에 따라 표정과 얼굴을 상상할 수 있게해요. 제가 초등 2학년때는 엄마가 유니세프 인형만들기에 동참하시면서 나와 동생을 위해 인형2개를 직접만들어서 입양해 주셨어요. ^^ ...
- 선행학습 금지법 반드시 지켜져야될 약속기사 l20140305
- 재정 축소,정원 감축 등의 실효적인 체재가 가능한 반면 사교육은 선언적 규제에 머물러 오히려 사교육만 더 조장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우려가 있다.셋째,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욕구의 갈등해소 또한 관건이다. 넷째, 교사의 열정 위축과 학생평가 결과 불만해소도 관건이다. 어찌되었든, 선행학습 금지법이 생겨서 올해 2학기 때부터는 모든 친구들이 학 ...
이전1440144114421443144414451446144714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