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수학개념으로 현대 사회의 복잡성을 풀어냈어요. 덕분에 수학책에만 등장할 것 같은 개념을 미술관 안에서도 발견할 수 있지요. 같이 한 번 둘러볼까요?"우와! 여기는 미술관이 아니라 마치 과학실험실 같아요!“유빈 학생이 그렇게 느낄 만한 이유가 있어요. 여러분이 잘 아는 파스퇴르는 이렇게 ... ...
- [화보] 찰나의 순간, 수학을 포착하다!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점(0)과 선(1), 면(2), 그리고 입체(3) 등 정수 단위로 커져가는 차원 개념에 프랙탈 개념을 도입해서 소수점 단위로까지 세분화 했다. 이를 이용해 번개를 분석한 결과 번개의 프랙탈 차원은 약 1.7차원이었다.간헐천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간헐천의 분출 원리를 밝히기 위해 수학을 이용한다. 물과 ... ...
- 완벽한 기하학의 집합체, 눈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가지 대칭 중에서도 정육각형 모양으로 이뤄진 눈 결정은 ‘정이면체군’이라는 수학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여기서 정이면체군이란,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과 같은 정다각형에서 찾을 수 있는 회전과 반사 등의 대칭 요소를 총칭한 것이다. 쉽게 말해 정다각형의 대칭을 모은 것을 뜻한다.예를 ... ...
- 생물처럼 말랑말랑한 ‘소프트 로봇’ 나온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배달하거나 가까운 상처를 치료하고 막힌 혈관을 뚫는 마이크로 의료 로봇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그러나 이런 마이크로 의료 로봇은 사람의 혈액을 타고 떠다니기 때문에 원하는 장기까지 정확하게 가도록 만드는 것이 어려웠다. 한 번 들어가면 충전할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하면 에너지도 적게 ...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세트에서 빈 칸을 채우는 과제였다. 이러한 단어 완성 과제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어떤 개념이 활성화돼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흔히 사용한다.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이번에도 오전에 단어를 완성한 참가자들은 MORAL(도덕적인), ETHICAL(윤리적인) 같은 도덕 관련 단어들을 많이 채웠지만, 오후에 ... ...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결부시켜서 생각하기는 힘들다. 알렉산더 제국은 조각나고 말았지만, 국제사회라는 개념이 훨씬 현실에 가까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이 수학처럼 이해관계를 초월한 보편적 원칙으로 매개되는 것만은 물론 아니다. 마케도니아 제국의 자취들이 아직도 남아 있는 중동 지역을 지나 보면, ... ...
- 수학을 잘 하면 돈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수도 있으니 주의하세요~.헉! 그러면 아예 쓰면 안 되겠네? 아니아니, 잠깐! 일단 저희의 개념을 듣고 생각해 보세요. 온라인 사이트에서 게임을 하면서 아이템을 구입할 때면 그 사이트에서만 쓸 수 있는 ‘게임머니’를 사용하잖아요. 저희 역시 사용을 허가한 곳이라면 어디서든 쓸 수 있는 일종의 ... ...
- [가상인터뷰] 뱀주사위놀이를 하면 수학 실력이 쑥쑥!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주세요.저는 뱀주사위놀이가 수학실력에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아직 수 개념이 부족한 42명의 유치원생들을 21명씩 두 개의 모둠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했지요. 첫 번째 모둠에게는 주사위를 던져 말을 옮길 때,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 만큼을 하나부터 외치게 했어요. 예를 들어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일이라고 추켜세운다. 그 이유는 약 2000년 동안이나 수학자들을 괴롭혀온 무한소의 개념을 제대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또한 건축부터 각종 기계,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활용되고 있고, 무엇보다도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힘이 있어서다. 0과 무한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근데 아까부터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물질의 근본단위로 여겨졌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이론물리학자들에 의해 쿼크라는 개념이 도입되고 그 존재가 실험적으로 확인되면서 물질의 근본단위는 쿼크까지 내려오게 됐다. 쿼크는 둘 또는 셋이 모여 중간자라는 입자, 또는 양성자나 중성자를 만든다. ‘세상은 무엇으로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