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민형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자의 여행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결부시켜서 생각하기는 힘들다. 알렉산더 제국은 조각나고 말았지만, 국제사회라는 개념이 훨씬 현실에 가까워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이 수학처럼 이해관계를 초월한 보편적 원칙으로 매개되는 것만은 물론 아니다. 마케도니아 제국의 자취들이 아직도 남아 있는 중동 지역을 지나 보면, ... ...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수학개념으로 현대 사회의 복잡성을 풀어냈어요. 덕분에 수학책에만 등장할 것 같은 개념을 미술관 안에서도 발견할 수 있지요. 같이 한 번 둘러볼까요?"우와! 여기는 미술관이 아니라 마치 과학실험실 같아요!“유빈 학생이 그렇게 느낄 만한 이유가 있어요. 여러분이 잘 아는 파스퇴르는 이렇게 ... ...
- 생물처럼 말랑말랑한 ‘소프트 로봇’ 나온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배달하거나 가까운 상처를 치료하고 막힌 혈관을 뚫는 마이크로 의료 로봇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그러나 이런 마이크로 의료 로봇은 사람의 혈액을 타고 떠다니기 때문에 원하는 장기까지 정확하게 가도록 만드는 것이 어려웠다. 한 번 들어가면 충전할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하면 에너지도 적게 ...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이론이라고 한다. 쉽게 이야기하면, 개체보다는 계통(종이나 집단)이 중요하다는 개념이다. 흔히 드는 예로, 레밍이 개체수가 늘면 다른 레밍이 살 수 있게 하려고 일부러 죽는다는 식이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엄밀하지 못했고 자연을 잘 설명하지도 못했기에 1960년대의 해밀턴 이론이 나온 뒤 거의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관측 선언과 동시에 암흑물질 탐색을 선언했을 정도다. 하지만 이렇게 중요한 윔프의 개념을 이휘소 박사가 처음 제기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국내 학자와 일부 외국 학자가 가끔 문헌에서 언급하는 정도다. 김진의 경희대 석좌교수는 “지난 11월 나온 ‘사이언스’ 기사에도 윔프가 ...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세트에서 빈 칸을 채우는 과제였다. 이러한 단어 완성 과제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어떤 개념이 활성화돼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흔히 사용한다.어떤 결과가 나왔을까? 이번에도 오전에 단어를 완성한 참가자들은 MORAL(도덕적인), ETHICAL(윤리적인) 같은 도덕 관련 단어들을 많이 채웠지만, 오후에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물질의 근본단위로 여겨졌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이론물리학자들에 의해 쿼크라는 개념이 도입되고 그 존재가 실험적으로 확인되면서 물질의 근본단위는 쿼크까지 내려오게 됐다. 쿼크는 둘 또는 셋이 모여 중간자라는 입자, 또는 양성자나 중성자를 만든다. ‘세상은 무엇으로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에바리스트 갈루아의 이론이 결정학에 영향을 미쳤다. 갈루아는 ‘군(群, Group)’의 개념으로 도형의 선과 점, 면이 만드는 대칭군을 설명했고, 이 이론은 훗날 결정 구조를 설명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물리학과 컴퓨터의 발전이 결정학을 만들었다결정학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것은 결정을 이루는 ... ...
- 수학을 잘 하면 돈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수도 있으니 주의하세요~.헉! 그러면 아예 쓰면 안 되겠네? 아니아니, 잠깐! 일단 저희의 개념을 듣고 생각해 보세요. 온라인 사이트에서 게임을 하면서 아이템을 구입할 때면 그 사이트에서만 쓸 수 있는 ‘게임머니’를 사용하잖아요. 저희 역시 사용을 허가한 곳이라면 어디서든 쓸 수 있는 일종의 ... ...
- [가상인터뷰] 뱀주사위놀이를 하면 수학 실력이 쑥쑥!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주세요.저는 뱀주사위놀이가 수학실력에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아직 수 개념이 부족한 42명의 유치원생들을 21명씩 두 개의 모둠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했지요. 첫 번째 모둠에게는 주사위를 던져 말을 옮길 때,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숫자 만큼을 하나부터 외치게 했어요. 예를 들어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