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능"(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연구에 탄력이 붙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응용해 국내 뇌과학자들과 뇌의 기능적, 생리학적 성질에 관한 흥미로운 연구도 진행 중이다. 미지의 뇌, 우리의 풍경이 될 날은 언제올해 6월, ‘네이처 메소드’는 뇌지도화(브레인 매핑) 특집호를 냈다. 특집호의 사설은 이렇게 한숨 섞인 ... ...
- 젊은이 부럽지 않은 꽃할배의 비밀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모습은 이런 능력 덕분이다. 사물의 이름대기, 언어의 유창함, 외국어 습득과 같은 기능은 노화와 함께 다소 떨어지지만 70세 부근까지는 어느 정도 수준을 유지한다. 사람에 따라서는 90살이 넘도록 최고 수준의 언어 능력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젊어서 고등교육을 받고, 사회적으로 활발한 활동을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장면이 나온다. 뇌의 신호를 읽는 뇌스캔기술은 정밀하게 묘사되지 않았고, 현재 뇌의 기능을 관찰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인 fMRI와는 전혀 다른 방식(아마 뇌파를 읽는 듯하다)이라는 사실만을 알 수 있다. 현재로서는 사실적이지 않은 묘사다. 하지만 만약 뇌지도가 완성되고 뇌를 극도로 빠르고 ...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실제로는 닭털도 많다). 깃털은 뜨거운 햇살 아래에서 체온이 올라가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도 탁월하다. 오랫동안 하늘을 날아다녀도 체온이 별로 올라가지 않는 철새를 생각해 보자.그래도 깃털이 주목받는 것은 탁월한 비행기구이기 때문이다. 새가 하늘을 날 수 있는 것은 엄청나게 발달한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수밖에 없다. 김 교수는 “정말 극적으로 출혈이 멎어 생존한다고 해도 염증반응과 면역기능의 활성화, 스트레스로 더 많은 에너지를 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결국 윤리 문제를 배제한다면 팔이나 다리를 자르는 것보다는 누군가를 잡아먹는 것이 전체의 생존에는 훨씬 유리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일명 ‘나노 로봇’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로봇은 스스로를 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어 원하는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그의 주장에 힘을 실어 주듯, 2005년 미국 코넬대 호드 립슨 교수팀이 스스로 같은 모양을 만들어 내는 로봇을 실제로 개발해 발표했다. 이 로봇은 일명 ...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그래도 마지막으로 작동을 멈추기 직전까지 운동 능력과 재생능력을 제외한 모든 기능이 살아있어서 착실히 기록을 남기고 있었다.이명은 원주민들의 수명에 견주어 볼 때 꽤 오랜 시간 동안 살면서 그들의 언어를 배우고 정보를 교환했다. 정확히 말하자면 동등한 교환이라기보다는 일방적인 ... ...
- 의학 - 물리학자가 암 정복에 도전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교수는 “암이 진화 과정에서 없어지지 않은 것은 배아 발달의 초기 단계에서 필수적인 기능을 하기 때문”이라며 “배아 단계에서 활성화됐다가 잠복하는 유전자가 훗날 다시 암 속에서 활성화된다” 고 말했다.이들은 현재 암 표본에서 추출한 유전자와 16억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생물의 ...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폐기능이 손상되고 환자 중 절반은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겪는다. 몸속 장기들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사망한다. 일부 항바이러스제에는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 됐지만, 신종플루 치료제로 잘 알려진 타미플루와 리렌자는 효과가 있다. 중국 정부는 수개월 내에 백신을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내세워 최종 결선에 올랐다. 더 세진 힘과 튼튼해진 몸체, 새롭게 추가한 네발로봇 변신기능이 특징이다.한국기업 로보티즈도 미국 버지니아공대 로봇기계연구소(RoMeLa)와 함께 결선 진출에 성공했다. 로보티즈가 개발한 ‘토르OP(한국명 똘망)’는 버지니아공대를 이끄는 한국계 미국인 데니스 홍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