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역시 실제로는 상어가 아니에요. 등에 빨판이 있어서 주로 상어나 바다거북 등 대형
동물
에 붙어서 사는 바닷물고기지요. 빨판상어와 상어는 한쪽은 이익을 얻지만 다른 한쪽은 이익도 불이익을 얻는 것도 아닌 ‘편리공생’ 관계를 맺고 살아가요. 빨판상어가 상어에 붙어 있으면 공격당할 위험도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사바나의 파수꾼 기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지난 4월 12일, 용인 에버랜드에서 아기 기린 ‘그루’가 태어났어요. 6월이 되면 일반 관람객도 그루를 볼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지요. 아프리카에 사 ... 거리의 포식자까지 알아볼 수 있어요. 그래서 기린이 달리기 시작하면 주변에 있는 초식
동물
도 앞뒤 가리지 않고 도망가지요 ... ...
튜링의 논문은 현대 수리생물학자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2012년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를 기억하시나요? 수많은
동물
을 생매장한 끔찍한 일이었지요. 그런데 수학자들이 대책반에 있었다면 그 정도의 참사는 막았을 겁니다. 수학자들은 수학 모형을 만들어 감염 경로를 예측해 전염병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기 ... ...
생리의학상 -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PD-1이 CTLA-4와 비슷하게 T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면역 억제 단백질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동물
실험을 통해 PD-1의 억제를 통해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추후 PD-1 항체를 이용한 면역 항암 치료의 기반이 됐다. 주변 면역세포에 의해 활성화되는 CTLA-4와 달리, PD-1은 주로 암세포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동물
항체를 인간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하지만 인간화 항체는 인간항체 뼈대에
동물
에서 발굴된 항체서열을 억지로 결합한 형태라는 한계가 있어 항원 결합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항체의 항원 친화도를 향상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했다. 이때 이용한 것이 파지 ... ...
Part 1. 참고래, 땅에서 꺼내던 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갈비뼈가 없는 상태였답니다. 참고래는 왜 땅속에 묻혔을까?참고래는 지구상의
동물
중 대왕고래 다음으로 큰 몸집을 지닌 대형 포유류예요. 현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돼 있기 때문에, 연구 목적으로도 포획을 하지 않고 있지요. 그런데 지난 2014년 5월 17일 전북 군산시 해상에서 어류를 잡기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립백두대간 수목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박영래 해설사님이 호랑이에 대한 소개를 해 주셨어요. “호랑이는 원래 야행성
동물
이기 때문에 해가 떨어지고 나서야 본격적으로 움직여요. 그래서 지금은 이렇게 누워 있는 거예요. 이 호랑이는 100여 년 전만해도 한반도 백두대간을 주름잡았던 ‘시베리아호랑이’예요. 우리나라에서는 ... ...
튜링 모형 쓰는 별별 분야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나온 지 60년이 더 지난 지금까지도 튜링 모형을 연구하는 학자들이 여전히 있습니다.
동물
무늬 패턴의 생성 원리를 밝히는 데 말고도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거든요. 이처럼 튜링의 연구는 여러 곳에서 계속 응용돼 사용될 텐데요, 미래에는 또 어떤 곳에서 쓰여 놀라움을 자아낼지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인공고기는 보통 가축을 사육하지 않고, 실험실에서 세포공학기술을 이용해 살아 있는
동물
세포를 배양해 얻는 식용 고기를 의미한다. 배양육에 대한 아이디어가 나온 지는 한참 됐다. 영국 총리를 지낸 윈스턴 처칠은 1932년 ‘50년 뒤의 세계(Fifty Years Hence)’라는 책에서 “50년 뒤에는 닭의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네이처 생명공학’ 10월 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doi:10.1038/nbt.4232 김 교수는 “
동물
의 장내 미생물의 역할과 유사한 개념”이라며 “식물의 프로바이오틱스라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잠복기 짧은 ‘좀비 바이러스’는 없어 이번엔 따끈따끈한 신작, 영화 ‘창궐’을 살펴보자. 창궐은 조선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