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정육면체의 꼭지점 8개에는 양이온이 있고, 중앙에도 양이온이 하나 있으며, 6개 면은 16족의 할로겐 원소로 채워진 특이한 구조의 화합물, ‘페로브스카이트’다. 차세대 태양전지로 꾸준히 주목 받아온 귀한 물질이다. 그런데 페로브스카이트를 태양전지 대신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에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극지 고층대기 관측 우주를 탐색하다 극지는 우주로 열린 창이다. 지구의 자기력선은 남극과 북극에서 우주로 열려있다. 이런 자기력선을 따라 지구 대기로 유입된 우주의 입자들은 지구의 ‘고층대기(upper atmosphere)’와 상호작용하며 여러 가지 현상을 일으킨다. 오로라가 대표적이다. 오로 ... ...
- [과학뉴스] 사자가 임팔라 대신 얼룩말 사냥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임팔라는 사자에게 잡힐 확률이 얼룩말보다 낮다. 최근 영국 과학자들이 육식동물들이 주로 사냥하는 먹이 차이가 운동 능력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24일자에 발표했다. 앨런 윌슨 영국 왕립수의대 비교의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아프리카 보츠와나의 사 ...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중국 과학자들이 마음에 새기고 있는 단어가 있다. ‘하늘을 이고 땅 위에 선다’는 뜻의 사자성어 정천입지(頂天立地)다. 홀로 서서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는 당당한 기개를 의미하는 말이다. 미국과 함께 G2로 꼽히는 중국의 성장세는 정천입지의 의지에서 시작됐을 것이다. 과학기술에서도 최근 ...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한국의 중이온가속기, 중국의 전자양전자가속기, 일본의 선형가속기. 한중일 삼국의 가속기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1월 말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 주관으로 열린 ‘2018 아시아 가속기·진단장치 포럼’에는 한중일 삼국의 차세대 입자가속기 책임자들 ...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저는 ‘회로장이’입니다.” 이정협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는 자신을 이렇게 소개했다. ‘회로장이’는 전자회로 전문가를 빗댄 표현이다. 그는 이 분야의 올림픽으로 불리는 ‘국제고체회로학술대회(ISSCC)’에서 3년 연속 논문을 발표한 ‘금메달리스트’ 출신이다 ... ...
- Part 4. 빙하를 보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빙하는 냉동 역사책?빙하가 만들어질 때, 눈이 얼음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공기가 얼음 속에 갇혀요. 얼음 속에는 눈이 내렸던 당시의 대기 성분과 먼지, 화산재, 중금속 등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어요. 이 눈이 해마다 차곡차곡 쌓여서 마치 나무의 나이테처럼 눈이 쌓인 시기를 알 수 있게 해 준답 ... ...
- [과학뉴스] 피부 줄기세포로 근육 만들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근육이 손상된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이 열렸다. 네너드 버삭 미국 듀크대 교수팀은 사람의 피부세포에서 유래한 유도만능줄기(iPS) 세포를 근육 조직으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9일자에 발표했다. 피부에서 실제로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있는 근육조직을 만 ... ...
-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건 미친 아이디어야. 성공할 리가 없어.”2010년 당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였던 한승용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가 초전도 코일에서 절연체를 빼자는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내놓자, MIT 동료 교수들은 하나같이 이렇게 말했다. 1911년 처음으로 발견된 초전도 현상은 0K(절대온도 0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미야자키 하야오는 소문난 ‘성덕(성공한 덕후)’입니다. 어릴 적부터 하늘을 나는 것을 동경해 자신의 영화에 비행체를 잔뜩 그려넣었죠. 심지어 실제보다 크게 그리기까지 했습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건 크게 그리는 사람이거든요. 미야자키의 비행체를 실물로 볼 수 있는 곳이 있다네요! 100년쯤 ... ...
이전1401411421431441451461471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