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600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메모리 개발’ 등 테라시대를 가능하게 할 나노소자를 속속 만들어내고 있다.“
성과
도
성과
지만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다양한 경험을 쌓으면서 일류과학자로 거듭 태어나게 될 것입니다.”현재 사업단에 참여하고 있는 5백여명의 연구자 중 박사급만도 1백50여명이다. 이 단장은 프로젝트가 ... ...
10억분의 1m 속의 비밀정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웰랜드 교수는 “현재 이를 활용해 방수코팅이나 신형 태양전지용 소재 연구에서 큰
성과
를 얻고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그는 “5˚미만의 경사에서 물방울이 미끄러지는 현상을 통해 나노섬유의 방수효과는 이미 입증됐다”고 덧붙였다.이번에 찍은 사진들은 최근 케임브리지 공대 주최로 열린 ... ...
04. 눈과 귀 창조하는 인공시청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이 외에도 여러 대학이나 연구기관에서 인공시청각시스템을 현실화하기 위한 연구
성과
들을 속속 내놓고 있다.이와 같은 인공시청각 기술 개발의 어려운 점 중 하나는 사람들이 몸에 이물질을 부착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최대한 불편을 적게 느끼면서 신체에 필요한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유전자 검사만으로 산발성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확률을 정확히 알 수는 없다.유전
성과
산발성 알츠하이머병의 공통 원인으로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베타아밀로이드는 정상인의 경우에도 인체 곳곳에서 소량 만들어진다. 베타아밀로이드가 신경세포를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않은 분야를 탐구하려는 열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평소 과학적
성과
의 대중화를 주창하는 과학자로 유명하다. 이 때문인지 지난 4월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소장 취임차 한국을 방문했을 때도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사이언스코리아’운동에 관심을 표명하고 적극적인 ... ...
레이저 기술이 만드는 빛의 연금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고체 레이저 개발에 성공했다. 2000년 LG전자와 공동 개발에 착수한 이래 3년만에 얻은
성과
였다.“고출력 청색 레이저는 빔주사 방식으로 기존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방식보다 훨씬 크고 선명한 화질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컴컴한 연구실 한가운데를 날카롭게 가르는 푸른빛의 레이저를 조용히 ... ...
장기이식 어디까지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형질전환동물을 만드는 데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으며, 일부에서는 불완전하지만
성과
를 거두고 있기도 하다. 앞으로 면역거부반응에 관여하는 수많은 유전자의 종류와 구조가 정확히 규명되고 여기에 걸맞는 적절한 형질전환동물들이 개발되면 본격적인 임상적용도 가능할 것이다 ... ...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여러분들에게 소개하는 발명품은 가장 빼어난 협동 작업의 결과이자 산업체 기초연구의
성과
이기도 합니다”라며 기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회견장 이곳저곳에서 기자들의 하품소리가 들렸다. ‘트랜지스터’ 란 새로운 발명품의 이름도 생소한데다 설명을 들어도 이 ... ...
한국,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 입상 쾌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5월 10-14일 미 포틀랜드에서 개최된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인텔 ISEF)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뛰어난
성과
를 올렸다.대전과학고 1학년 홍성진 군은 ‘e-Canister’ 라는 안 ... 공학, 환경과학, 의학 및 건강 등 다양한 부문에 출전했다는 점도 올해 대회의 또다른
성과
”라고 밝혔다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구물리학회 등 국제저명 학술지와 국제 학술세미나에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그 연구
성과
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해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유상진 박사(34)는 미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연구원으로 현재 활동하고 있다.한국주변해역의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