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d라이브러리
"
억제
"(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고유의 한선(韓船) 황포 돛단배가 복원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통통배)이 도입돼 범선인 한선은 도저히 이것과 경쟁할 수 없었다. 아울러 일제는 벌목을
억제
한다는 명목아래 한선을 만들던 목수들을 동원해 재교육시키고 모든 배의 형태를 일본식의 일중선으로 바꾸도록 강요했다고 한다. 거북선은 철갑선 아닌 목선 현재 한선은 그 건조기술이 경험과 함께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0억마리로 최고도에 달한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젖산균은 창자 속의 유해한 균의 번식을
억제
하는 역할도 한다.뭐니뭐니 해도 김치는 비타민C가 풍부한 식품이다. 비타민C는 배추 1백g당 40mg, 무우에 30mg정도 들어 있다. 그러니까 김치를 하루에 1백g만 먹어도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비타민C 하루 ... ...
유전자는 재형성되면서 항체를 만든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혈구파괴같은 부작용이 없는 백신을 생산하거나 장기이식수술뒤 발생하는 거부반응을
억제
해 이식된 장기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도록 응용될 수 있다. 또 면역기능의 파괴로 걷잡을 수 없이 각종질병에 시달리게되는 후청성면역결핍증(AIDS)의 정체를 바르게 이해하는데도 이바지할 것이다 ... ...
미진동제어법을 새로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산업용 로봇은 산업일선에서 일간을 도와 많은 일을 해내지만 문제가 없는것은 아니다. 한가지 예를들면 팔(arm)의 끝부분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도 한동안은 미세하게 진동하여 ... 이에비해 새 방식은 진동 발생 자체가 적어지고 제어율의 한계라는 80%까지 진동이
억제
된다는 것 ... ...
어떻게 감지하고 어떻게 적응하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이용해 물을 끌어당김으로써 종국에는 발아를 유도한다. 이와 더불어 저온처리에 의해
억제
물질이 감소하여 지베렐린과 시토키닌의 축적이 일어난다.종자의 탈휴면 메카니즘은 어느 부위에서 일어날까? 저온처리된 종자에서 분리한 배는 따뜻한 온도에서 생장하지만, 저온처리하지 않은 배는 ... ...
남자와 여자의 뇌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상실된 사회 출현여기서 부터는 유추가 되지만 인간도 대뇌에서 변연계에로의
억제
회로 시스팀에 남녀의 차가 크게 있는것인지 모른다. 예를 들면 남자의 경우는 그 시스팀이 완고하게 되어 있으나 여자의 경우는 벗겨지기 쉽게 되어있다는 등이다.남녀의 행동양식이나 사고 패턴을 자세히 ... ...
두통의 정체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줄면 혈관이 급격하게 확장하여 두통이 생긴다.혈소판에는 세로토닌의 방출인자와
억제
인자가 있는데 편두통이 자주 있는 사람은 이 방출인자가 불안정하기 때문이다.스트레스가 심할 때도 편두통이 생긴다. 스트레스가 강하면 혈액속에 지방산이 늘어 혈소판에서 세로토닌이 떨어져나가게 ... ...
구름은 기온을 높이나, 낮추나?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새로 늘어나는 구름도 역시 두 가지의 반대기능을 하게 된다. 태양열이 지상에 오는것을
억제
하는 기능과 지상의 열기를 높은 대기중에 분산시키는 것을 막아 일면 지상기온을 높히고 일면 기온을 낮추게 할것이다. 그렇다면 두가지의 효과중 어느쪽이 보다 우세할까? 또는 두가지 상반되는 효과가 ... ...
현대문명의 사생아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돈은 사실 그렇게 대수로운 것이 아니었던 것이다. 결국 K가 더 큰 범죄충동을
억제
하고 한 분기당 30여만원씩의 이자만을 빼돌렸다면 K의범행은 영원히 은닉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늪속에 빠져든 범죄충동그러나 K는 좀더 '신형수법'의 컴퓨터범죄를 상상한 끝에 있지도않은 인물의 허위구좌에 ... ...
가장 큰 날짐승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만큼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새들은 깃털을 갖고 있다. 깃털은 열손실을
억제
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다. 박쥐는 약간 덜 효과적이지만 털로써 손실을 줄인다.박쥐와 새들은 곤충보다는 상당히 몸이 크지만 이렇게 많은 에너지를 낼 수 있기에 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몸이 크다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